나, 건축가 구마 겐고 - 나의 매일은 숨 가쁜 세계일주
구마 겐고 지음, 민경욱 옮김, 임태희 감수 / 안그라픽스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들이 살아가는 보금자리인 그들의 집을 짓고,그들의 일터인 회사를 짓고,

어떤 창조적인 일을 해내는 공간들을 지어내는 건축가들의 삶은 때론 우리가 동경하는 삶이기도 하다.

 

특히 세계적인 무대를 누비며 아름다운 건물을 지어내는 일을 하는 유명한 건축가들의

모습은 어릴적 한번쯤 꿈꿔봤을 법한 모습이기도 하다.

 

이 책은

구마 겐고가 세계적인 건축가로 성장하기까지의 과정과 그만의 독특한 건축 철학을 갖기까지의 생각들을 담고 있다.

 

이 책의 저자인 구마겐고 처럼 유난히 세계적인 건축가가 많은 일본. 단게 겐조, 마키 후미히코, 안도 다다오 등 세계 건축사에 한 획을 그은 이들의 바통을 이어 현재 일본의 건축은 구마 겐고가 이끌고 있다.

 

20세기 건축을 대표하는 ‘영원히 단단한’ 콘크리트와 반듯하고 깨끗한 ‘미국적인’ 것에서

되도록 먼 건축을 찾아 헤맸던 그는 우연히 만난 재료와 경관, 장인기술을 파내려가다가 작음, 약함, 자연스러움, 이음, 죽음 등 자신만의 독특한 건축 철학을 확립한다.

그는 이렇게 세계를 누비며 자신의 건축에 대한 세계관을 더욱 넓혀가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이 책을 처음 접했을 때는 일본의 대표적인 건축가 중 한명인 안도 다다오의 건축에 관한 생각들과

구마 겐고의 생각을 비교해보며 읽는 묘미도 있었다.

 

구마 겐고는 현대 건축에 비판적인 면이 있었고,그래서인지 그런 건축을 지향하는 이들과의 견해 차이도

책을 읽다보면 자연스레 전해지는 것 같다.뿐만 아니라 일본 건축가의 계보를 바탕으로 전세계 건축역사를

훑어보는 것도 흥미로운 부분 중 하나이다. 

 

가족과 집을 뜯어고치는 것이 일상이었던 어린 시절에서 건축 데뷔작 M2의 쓰디쓴 실패, 기로잔전망대, 돌미술관 등

 지역의 재료를 최대한 이용한 건축, 사람이 함께 만드는 아오레나가오카, 일본 건축가의 최대 영예인 제5대 가부키극장까지 그의 35년 건축 여정이 자유롭게 펼쳐진다.

 

그는 한국을 달리며 그 안에서 한국과 일본이라고 하는 국경은 녹아버린 듯하다고 말한다.

국경은 사라졌지만 곳곳의 장소가 이전보다 강한 개성을 발휘하는 상태를 만들기 위해 건축을 하고 있다고도

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 건축을 좋아하고 공감하는 그는 한국의 건축이 이런 디테일한 그의 건축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하고 있다.

 

그의 일상인 현장을 확인하고,설계에 관한 회의를 위해 세계를 돌며 달리는 그의 삶 속에서

사람들과 늘 함께 하고 있는 삶이라는 생각도 든다.

 

책의 질감과 전체적인 구성 또한 읽기 편하고 마음에 든다.깔끔하고 크기 또한 일반도서보다 약간 작으면서도

잡기 쉬워 읽기도 편했던 것 같다.

 

세계를 달리며 내일을 짓는 건축가 구마겐고의 삶이 궁금하다면 이책을 추천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