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서 일하는 엄마로 산다는 것 - 일도 잘하고 싶고, 아이도 잘 키우고 싶은 당신을 위한 따끔하지만 가장 현실적인 조언 33
신의진 지음, 김경림 엮음 / 걷는나무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한국에서 엄마로서 아이들을 키우며 직장생활을 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만큼 자녀를 키우고 있는 직장인 엄마들을 위한 대우가 엄마로서,아내로서 가정을 돌보며

직장을 다니기에는 어려운 조건속에서 엄마들이 직장을 다니고 있지 않나 싶다.

 

그나마도 예전에 비해서는 직장에 다니는 어머니들을 위한 배려가 좀 나아지고는 있지만

아직 자유롭게 자신의 일을 하기에는 가정에서의 어머니로서의 역할의 비중이 더욱 크게만 느껴지는 건 사실이다.

 

그런 일을 하고있는 어머니들을 위한,직장인으로서 또 한가정의 어머니로서 살아가고 있는

이시대의 '일하는 어머니'들을 위한 책이 바로 이 책인 것 같다.

 

엄마들의 마음의 무게를 내려놓게 해주는 위로의 도서이자,

대한민국에서 일하는 엄마로서 살아가기 위한 용기를 북돋아 줄 수 있는 책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의 저자 또한 성공항 소아정신과 의사이자 두 아이의 엄마로서

아이를 키우며 행복하고 당당하게 일하며 사는 대한민국의 일하는 엄마이다.

 

그렇기에 이 책을 읽을 직장인 어머니들에게도 더 공감가는 내용이 많지 않을까 싶다.

 

엄마들은 아이가 아프기라도 하면 죄책감에 가슴에 멍이든다.

하루가 48시간인것처럼 바쁘게 살면서도 정작 자기 자신을 돌아보지 못하는 엄마들.

일과 육아와 살림을 병행하며 매일같이 한계에 부딪히는 엄마들의 하루하루가

얼마나 힘들지 알기에 이 책의 저자는 이 책을 썼다고 한다.

 

일과 육아 사이에서 흔들리는 엄마들에게 일도 잘하고 아이도 잘 키우는 것이 결코

허황된 욕심이 아니라는 것을 저자는 이책을 통해 엄마들에게 전하고 있다.

 

그녀는 일을 한다는 이유로 아이에게 미안해하지 말라고 한다.

아이에게 나쁜 엄마는 일하는 엄마가 아니라,

자신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스스로를 불행하다고 여기는 사람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기에 모든것을 다 잘하려고 애쓰지 말고 떳떳하고 당당하게 일하라고 말한다.

 

그래서인지 이 책에는 엄마로서의 삶만큼이나 자신의 일을 해나가며 당당하게 사는 삶 또한

중요한 것임을 현재의 엄마들의 상황과 마음을 헤아려 말하는 부분이 많은 것 같다.

 

특히 인상깊었던 부분은 당신은 이미 너무 지쳤는지도 모른다는 말이었다.

남들 눈에는 명백하게 문제로 보이는 상황을 별일 아니라는 것처럼

아무문제 없어라는 말로 회피하지 말라는 얘기였다.

 

자신의 문제를 외면하고 스스로를 돌보지 않으면 우울해도 우울한 줄 모르고,

힘들어도 힘든 줄 모르는 '무감'의 상태에 빠지기 쉬운 것이다.

 

그런 엄마의 상태를 가장 빨리 눈치채고 가장 강하게 영향을 받는 것또한

바로 아이들이기에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자신을 먼저 돌볼 줄 알아야한다는 말이

인상깊었다.

 

엄마라고 하면 우리는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되는 단어가 '희생'이 아닐까 싶다.

그만큼 자신을 위해서보다는 자식을 위해,가족을 위해 헌신하는 삶을 살아가는

이 세상의 모든 엄마들에게 자기 자신을 먼저 돌볼 줄 알아야 가족들을 위해서도 살수 있다는

저자의 말이 인상깊게 와 닿았던 것 같다.

 

직장에 다니는 엄마들이라면 이 책을 한번 읽어보길 권해주고 싶다.

이 책을 읽고난 후에는 '엄마'로서의 삶에서 조금은 떨어져 아마 그동안 잊고 지냈던

자신의 삶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