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 BOOn 2호 - 2014년
RHK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 편집부 엮음 / RHK일본문화콘텐츠연구소(월간지)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 BOON :: 일본문학의 세상으로 '

 

 

 

일본문학잡지라는 것을 이번에 처음 접해보았다.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일본 문학 뿐만이 아니라 일본 문화의 소식들 또한

접해 볼 수 있는 일본 문화컨텐츠이 'BOON'은 일본의 문화콘텐츠에 대한 정확하면서도 빠른 정보 제공과 심도 있는 연구를 제공한다.

 

처음 이 잡지를 접했을 때에는 기존의 '잡지'라는 것에 대한 이미지를 깬 책처럼 생긴 잡지의 형태에

신선하게 느껴지기도 하면서,잡지 또한 일본 문화에 맞춰 놓은 듯한 느낌을 받았다.

작고 아기자기한 것을 선호하는 일본의 성향이 담겨 있는 듯한.

 

사실 평소 읽던 문학들 중에도 일본인 작가들의 소설이나,일본 문학이 있기에

이 나라의 문화적인 성향은 어떨지, 또 최근의 문화 소식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지 등에 대한

정보들을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그 작품을 쓴 작가와 그 작가의 나라,환경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면 그 작품을 좀더 잘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그렇기에 이번 BOON 2호를 읽어보면서 그동안 읽어왔던 작품들에 대한 이해도를

더 넓힐 수 있는 시간이 되었던 것 같다.작품을 이해하는 폭을 넓힐 수 있게 해주는 잡지라는 생각이 든다.

 

 

 

 

 

 

 

이 잡지의 이름인 'BOON'이란 뜻은 '유쾌한'이라는 뜻을 가진 말로

일본어 '분카'에서 '분'이라는 발음만 차용하여 표기한 것이라고 한다.

따라서 BOON은 유쾌한 일본문화 읽기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번 3,4월호인 BOON 2호에서도 일본문화의 다양한 면을 다루고 있는데

가장 첫장을 넘기면 일본의 한 도시를 간단하게 사진으로 소개하는 부분이 나온다.

이번호에는 규슈즐기기,후쿠오카 편으로 후쿠오카의 주요지역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있다.

 

작가를 읽다라는 파트에서는 이 BOON의 의미와도 닮아있는 유쾌,상쾌한 소설을 쓰는 작가

오쿠다 히데오에 대한 그의 작품과,그에 대한 이야기들이 실려있다.

 

이번 호의 특집에서는 흔들리는 대지를 주제로 3.11이후의 문화와,상상력에 대해

일본의 실제 모습과 문화를 연관지어 이야기하기도 하고,

특히 최근 가장 큰 피해를 입었던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한 내용을

기사처럼 직접 현장르포를 다녀와 작성한 글도 볼 수 있다.

 

이 외에도 문학잡지의 단골 파트라고 볼 수 있는 연재소설이 실려있는데 작품은

히구치 유스케작,소설신초와 공동연재하고 있는 <어항,그여름날의 풍경>이라는 소설이다.

 

일본의 한류바람과 연관지어 한국와 일본의 문화적 연관성을 보여주고자 하는 파트도 있고,

일본 문학을 읽고 난후 적은 서평들과,책을 소개하는 부분들이 있어

최근 일본 문학 작품들을 미리 접해볼 수도 있다.

 

BOON을 읽다보니 한권을 읽는데에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걸리지 않았던 것 같다.

책의 두께는 일반도서보다 조금 작아도 거의 비슷한데

책한권에 다양한 파트가 구성되어 있는 잡지라는 성향과,곳곳에 흥미로운 기사거리나

도서를 미리 접해 볼 수 있는 부분들이 있어 이 잡지의 이름인 'BOON'의 의미처럼

유쾌하게 일본 문화를 접해 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책의 구성또한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다.

손에 잡히는대로 읽고 싶을때 차한잔 마시며 읽기 딱 좋은 잡지가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