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낯이 예쁜 코리안 - 독일인 한국학자의 50년 한국 문화 탐색
베르너 사세 지음, 김현경 옮김 / 학고재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한국인으로서 한국을 사랑하는 외국인들을 볼때면 괜시리 마음이 뿌듯해지고

그분들에게 고맙고,감사한 마음이 들때가 많다.

그들이 말하는 한국의 아름다움에 대해 가만히 생각해보면

현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매우 익숙하고,우리 눈에 흔히 보이는 것들 보다는

오히려 우리가 알고는 있지만 잊고 지냈던 것들이 더 많은 것 같다.

이 도서 또한 이방인의 눈에 비친 가장 예쁜 한국 문화는

우리가 애써 가리려 했던 우리 문화의 민낯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한국 문화의 민낯'이라는 표현이 신선하게 느껴졌다.

화려한 포장속에 감춰진 우리의 진정한 모습은 과연 무엇일까?

이 책의 저자는 그게 무엇이라고 말하고 있을까?

처음 책을 읽기 시작했을때 들던 호기심이었다.

 

모두가 예상하듯,

그건 바로 밥과 김치,한옥과 정자,유교와 불교,한글 그리고 한류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지켜오고,새로이 형성해온 우리의 '전통'이다.

이 책의 저자는 독일인 한국학자이 베르너 사세이다.

그는 1966년부터 1968년까지 그렇게 이른 시기에 한국 시골에 살았으며

이후 2년간 서울 생할을 경험한 흔치 않은 경험을 가진 외국인이다.

후에도 거으 매년 연구를 우해 한국을 다시 찾아왔고,

한국 사회가 한 세대 만에 농경사회에서 부유한 산업사회로,

다시 IT중심의 국가로 변모하는 것을 지켜보았다.

그렇게 한국을 사랑하게 됐으며 이제는 여생을 한국에서 살기로 결정한

진정으로 한국을 사랑하는 외국인이 아닐까 싶다.

이 책에는 그의 눈으로 바라본 한국 문화의 얼굴,한국 문화의 속살,한국 문화의 자화상이

모두 담겨있다.한옥,정자,한복,밥,김치,선비,유교,불교,한글,띠문화,전통사회와 사교육,한류,결혼 등

을 통해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어쩌면 현대문물들에 젖어 잊고 지냈던 우리의 옛모습들까지도

다시금 기억해내게 해준다.

 

저자는 단순히 이것들을 소개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 이 전통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또 지금에 와서는 어떻게 변하게 되었는지,현재의 우리사회의 변모된 모습들과 비교하여

안타까운 부분들까지 지적해 주고 있다.

책을 읽으면서 우리나라의 진정한 모습들에 대해서 다시한번 떠올려보게 되었다.

이렇게 자신의 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를 사랑하고 그 나라에 대해 끊임없이 공부하는 이들을 보며

우리의 모습도 돌이켜 보는 시간이 되었던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