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의 발견 - 과학이 밝혀낸 중년의 놀라운 능력
데이비드 베인브리지 지음, 이은주 옮김 / 청림출판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 과학이 밝혀낸 중년의 놀라운 능력 '

 

 

'중년'이라는 시기는 그 단어의 뜻처럼 인생의 가장 가운데에서 지나온 삶과 앞으로의 삶을 바라볼수 있는 나이가 아닐까 싶다.천방지축 철없이 어리던 때를 지나 점점 무르익어 가는 나이.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많은 사람들이 중년을 이제는 져가는 나이라고 생각하는건 잘 공감되지 않는 부분이었던 것 같다.100세 시대라고도 불릴만큼 의학기술과 사람들의 생활환경이 개선됨에따라 수명도 점차 늘어가고 있는 이 시대에 중년이라는 나이는 또다른 제2의 삶이 시작되는 시기라고 생각한다.

 

 책의 겉표지에 작게 이런 질문과 답을 던져놓았다.

 

 

 

'중년은 노화의 과정일까,

 

진화의 과정일까?

 

인간은 왜 중년에 가장 똑똑할까?....

 

...심리학과 인류학이 증명한 중년의 경이로운 능력,

 

중년은 인생의 전성기다!'

 

 

 

그렇다.

누구에게나 인생의 전성기가 한번쯤은 찾아오지 않는가.그때가 중년이 될수도 있고 심지어는 노년에 접어들어 그때가 찾아올수도 있는것이다.단순히 '나이'라는 잣대로 그 때의 삶은 어떨것이고,어때야 한다고 단정짓고,지레 짐작해 수동적인 삶을 살아가는건 어리석은 생각일뿐이다.

 

 이 책은 중년의 새로운 모습들,중년이 되어서야 가질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 다양한 연구를 포함해 매우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있다.그래서 그런지 이 책을 권할때도 좀더 자신있게 권해볼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단순히 다시 시작해볼수 있다는 용기를,위로를 주는 말보다는 좀더 구체적으로 왜 그럴수 있는지 신뢰가 갈수 있게 일목요연하게 적어놓은 내용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책은  마흔 무렵 찾아온 저자의 신체적 변화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했다.중년에 접어들면서 갑자기 희어지는 머리카락과 흐려지는 시력, 떨어지는 기억력을 걱정한 그는 '지금부터 나는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하는가?'라는 의문을 가졌고 이 모든 의문을 과학적으로 탐구하고자 했다.그는 신경과학과 생식생물학뿐만 아니라 심리학과 인류학 분야의 최근 연구들을 바탕으로 중년의 신체적,정신적, 정서적 변화를 다각적으로 탐색했고, 그 결과 따른 생물종 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인간 고유의 중년 시기에 대한 긍정적이고 놀라운 결과를 얻어냈고 이 책에는 그가 얻어낸 그 결과들이 적혀있다.

 

왜 나이가 드는지,어떻게 늙는 것인지부터 중년의 어머니들이 특히 관심이 많으실법한 '중년에는 왜 살이 찌는가'란 주제의 내용까지..그동안 우리가 궁금해했던 중년이라는 이 시기에 일어나는 몸의 변화라던지,성격의 변화에 대한 내용도 있어 평소 이런부분에 대해 궁금한 부분이 있었다면 좀더 과학적인 설명을 이 책을 통해서 들을수 있을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오히려 중년이기에 할수 있는 것들에 대해서도 많이 알게 되었고, 평소 중년에는 당연히 이럴것이라고 생각했던 편견들에 대해서도 다시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되었던 것 같다.이제막 제 2의 삶을 시작하려는 중년의 삶을 살아가고 계시는 분들께 한번쯤 추천해주고 싶은 책인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