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냐? 넌! - 장자가 묻는다 후 엠 아이 Who am I 시리즈 1
명로진 지음 / 상상비행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 <장자>에 대한 도서라고 생각했을때에는 다른 동양 고전 책들이 때론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지루하게 느껴질때도 있는 것처럼 이 책또한 다소 고리타분한 이야기나,지루함이 느껴지진 않을까..하는 생각도 했었다.하지만 헤르만 헤세는 "중국의 사상을 다룬 책 중에 가장 매력적인 책"이라고 말했고 서양철학자인 마틴 부버,하이데거는 <장자>의 애독자였을 정도로 <장자>는 우리에게 그 뜻을 전함으로서 배움을 주고,그로서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지는 도서이다.단순한 호기심 그 이상의 그의 뜻과 철학을 배워보고 싶었기에 기대또한 컸던 것도 사실이었다.

 

 또한 이 책의 저자는 이 책은  우화이자 독설이면서 탄탄한 철학 놀리이기도 하기에 그저 재밌는 옛날이야기라고 생각하며 읽기에도 좋다고 이야기했다.실제로 책을 읽는 동안 예상했던 지루함은 느끼지 못했던 것 같다.정말 하나의 재밌는 옛날이야기를 듣고 있다고 생각하며 읽다보니 내용이 무척 흥미로우면서도 그 속에서 그의 사상이나 그로부터 배울수 있는 것들에 대해 많이 알게된 시간이었다.더군나다 이 책의 저자 또한 딱딱하고 지루한 그동안의 <장자>란 책을 보며 되도록 인간적인 장자를 그리고 싶은 마음에 이 도서를 집필했다고 말하고 있다.그래서인지 이 책에는 다채롭고 독특하면서도깊은 사색을 요구하는 철학적 에피소드들이 가득하다.실제로도 장자는 대입 논술시험에도 자주 출제될 정도로 그의 사상과 철학은 우리에게 많은 생각을 할수 있게 해준다.그의 어떤 사상과 철학들이 이렇게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걸까?라는 궁금증이 들었다.

 

 장자에 대해 좀더 자세히 배워보는 시간을 가졌을때가 학창시절때 배웠던 <장자>에 나오는 유명한 일화인 '호접몽'에 대해 알아보았던 때인것 같다.'호접몽'의 내용은..어느 날 장주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었는데 나비는 자유롭게 훨훨 날아다니며 자신이 장주임을 몰랐다.문득 깨어 보니 분명히 장주였고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되었던 건지,나비가 꿈에 장주가 되었던 건지 알수 없었다는 내용이다.이 부분에 대해 배우면서 그 당시 느꼈던 것도,배웠던 것도 우리가 안다고 하는 것이 과연 제대로 아는것인지..어떻게 아는 것인지..에 대한 물음을 던져보는 일이었다.그때에는 이 뜻을 정확히 이해하지는 못했던 것 같다.하지만 지금에 와서 다시한번 이부분을 읽어보니 이제는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지 좀더 뚜렷이 이해가 되었던 것 같다.

 

 장자는 벼슬과 부귀영화에 욕심을 내지 않았고,그런 그에 대한 묘사는 사마천이 쓴 <사기열전>에서도 찾아 볼 수가 있다.그곳의 내용에는 "학문이 넓고 깊어 걸어 다니는 백과사전과 같았다.그의 말에는 거침이 없었고 뛰어난 글 솜씨로 인생사에 대해 썼다"는 기록이 있다.권력과 부귀는 누구나 원하는 것인데 장자는 신발 한 짝도제대로 된 게 없는 형편에 권력과 부귀를 한마디로 거절할 정도로 그는 자존심이 강했고 특별한 존재였다.장자도 공자나 묵자,맹자와 마찬가지로 전쟁과가난, 불평등을 겪는 백성들의 고통을 잘 알고 있었기에 더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볼수 있는 사람이 아니었을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책을 읽는 동안 왜 논술시험에 장자가 많이 등장해왔는지..조금은 알것도 같았다.장자는 우리에게 우리가 깨달아야 할 것이 '이것'이라고 말하지 않는다.그저 이야기 하나 툭 던져 놓고 우리가 고민하게끔 만든다.무엇을 깨달아야 하는지 바로 귀를 통해 듣는다면 그 깨달음에 대한 큰 감흥은 없을것이다.그 답을 찾아가면서 그속에서 하는 수많은 고민들과 생각들 하나하나가 모두 의미있는게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이 책을 통해 많은 생각을 떠올리게 되었고 마치 흘러가는 이야기를 듣는 듯한 기분이 드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