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의 이면 - 1993 제1회 대산문학상 수상작, 개정판
이승우 지음 / 문이당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침내 읽게 된 생의 이면, 작가의 말 부터 한줄도 그냥 넘길 수 없었다.



부길은 어머니와 함께 큰아버지의 집에서 지냈다. 고시공부를 위해 떠나있는 아버지는 언젠가 시험에 합격하여 금의환양을 할 것이라 했다. 하지만 어머니는 아들을 두고 제 살길을 찾아 떠났다. 집 뒤란에는 정신이 약간 이상한 사내가 있었고 부길이 그 곳을 들어갔다 나왔다는 것을 큰 아버지가 알게 되는 날이면 크게 혼이 났다. 그 사내의 죽음을 처음 발견한 것은 부길이었다.


죽은 그 사내는 부길의 아버지였다.


그 곳에 살고 있었지만 그곳은 그가 살 곳이 아니였다. 

부길은 결심했다. 그는 무덤에 불을 지르고 마을을 떠났다.


고향을 떠나간 부길은 여기 저기 떠돌아 다니며 일을 하며 숙식을 해결하며 지낸다. 우연히 고향 마을에 왔었던 전도사의 만남을 통해 부길은 어머니를 다시 만나게 된다. 어머니의 새 남편은 부길을 받아 줄 만한 위인이 되지 못하였다. 결국 부길은 어머니의 손을 통해 먼 친척의 집에서 중학교를 지내게 되었다. 고등학생이 되며 그 집에서 나와 자취를 시작하는데, 그 시기에 종단이라는 여자를 알게된다.


이러한 내용은 박부길이라는 작가의 소설과 박부길 그 자신에 대한 이야기이다.




글을 읽는 내내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런 나보다 훨씬 많은 생각을 글 속의 부길이, 그리고 부길이 쓴 소설 속에서 하고 있었다. 부길은 끝없이 떠난다. 이곳은 그가 지낼 곳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며 지낸다. 그가 유일하게 마음을 두었던 종단은 결국 부길을 떠나게 된다. 그가 지내온 곳, 사람들은 그가 마음을 줄 수 없는 것들 뿐이었다. 아버지는 죽었고, 어머니는 함께 할 수 없는 사람이 이었다. 마을은 다시 돌아 갈 수 없는 곳이었고, 언제나 돌아갈 곳이 없었다. 그가 마음 편히 지낼수 있었던 곳은 아무도 원하지 않는 빛도 들지 않는 지하방이었다.


글을 읽는 내내 부길의 감정상태에 깊게 빠져 읽었던 것 같다.


조만간 다시 한번 읽고 싶은 소설.






세상은 그의 것이 아니었다. 세상은 그가 아닌 모든 사람의 편이었다.

나는 그때 너무 커버렸던가. 적어도 생각은 그렇게 했었다. 어쩌면 생각뿐이었는지 모른다. 나는 생각이 많은 편이었고, 그래서 늘 행복하지 못했다. 생각이 많은 것은 무언가가 모자라기 때문이다. 그 모자라는 부분을 보충하려는 욕망이 많은 생각을 만든다. 하지만 생각은 생산 능력이 없다. 그래서 결핍의 정도는 더욱 심해지고, 세상과의 불화감은 더욱 증폭된다. 그 증폭된 불화감은 또 더 복잡한 생각의 밑천이 된다. 긑도 없는 악순환.

불쌍한 어머니. 우리는 이 땅에 잘못 내려진 겁니다. 불시착한 겁니다. 이곳은 나의 땅이 아니고, 당신의 땅도 아닙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