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인에게 왜 인문학이 필요한가?
김형석 지음 / 두란노 / 2020년 1월
평점 :
품절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920-2020

 

저자는 1920년 평안남도 대동에서 태어났다.

지금까지 한 세기를 살았다는 사실만으로도 이 책의 내용은 궁금할 만하다.

 

이전에 저자의 다른 책을 접한 적과 이 책을 읽으면서 강연 영상을 본 적이 있다.

 

그렇게 접한 저자의 삶에는 평생 학문 연구와 집필에 심혈을 기울였다는 흔적뿐만이

아니라 한국역사의 흔적도 엿볼 수 있었다.

 

그는 시인 윤동주와 같이 공부했고

도산 안창호의 생전 마지막 설교를 들었다고한다.

 

일제강점기를 거쳤고 한국전쟁을 거친 100년의 세월 속에서

철학을 전공했고 교수직을 하며 오랜 기간 우직하게 학문의 길을 걸어온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어떤 것을 전하고 싶은 것일까?

 

바른 생각, 바른 신앙을 위한 지식

인문학으로 기독교와 인간을 이해하다

 

철학을 전공한 저자이고 인문학을 통해 기독교와 인간을 이해하고자 한 책의 소개답게 책 내용이 쉽지만은 않다. 동서양의 여러 철학자들이 거론되며 일상용어이기는 하나 추상적인 단어들의 조합은 익숙한 듯 낯설게 다가온다. 간결한 저자의 필체는 그간 쌓아온 철학의 이해가 함축되어 있기에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지만 그렇기에 이해가 된 것 같으면서도 지금 잘 이해하고 있는게 맞나 싶은 아리송한 느낌이 들 때가 있다.

 

아마도 이는 저자가 서문에서 언급한 지성을 갖춘 현대인으로서 인문학적 소양을 찾아 누리지 못한 내 탓인듯 싶다.

 

이 책은 1장에서는 인문학, 2장에서는 인간, 3장에서는 종교, 4장에서는 기독교를 다룬다. 개인적으로 1-2장을 소화하기가 어려웠는데 3장부터는 1-2장을 통해 쌓은 지식과 훈련으로 읽기가 훨씬 수월했고 4장에 이르러서야 저자의 책의 진가를 맛볼 수 있었다.

 

1강 인문학은 무엇을 어떻게 연구하는 학문인가?

인문학은 인간을 위한 인간의 학문으로 더 많은 사람의 인간다운 삶에 기여하며 인간애를 위한 종교를 뒷받침한다. 휴머니즘의 학문인 인문학은 신앙적 신학과 공존해왔다.

 

인간적이라는 관념에는 두 가지 기본조건이 있다. 반이성적이거나 비이성적인 것은 참 신앙이 못 된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반양심적이거나 반도덕적인 신앙은 종교의 길이 아니다.“ p61

 

2강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인간만이 의식과 인식이 가능하며 자기성찰이나 반성이 있어 자기이해가 가능하다. 자기이해는 인간에게만 주어진 특성으로 인간은 육체적, 정신적 어느 쪽이라기보다 제3의 전체자로 경향성에 따라 선악의 가능성이 결정된다.

 

그리고 인간은 누구나 노력에 따라 선해질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 그것은 윤리를 가능케 하며 인간의 선한 성장을 돕는 일이다. 우리가 인간애라는 말을 사용할 때 그 사랑이란 바로 이 선한 가능성을 돕고자 하는 뜻이어야 한다.“ p77-78

 

3강 종교에 관한 인문학적 성찰: 기독교의 문제를 중심으로

인간에겐 정신적 자아의 한계와 이 한계를 자각하는 유한 속에 영원을 사모하는 정신적 자아가 있다. 그리고 이 한계성을 초월하려는, 육체적인 영생보다 삶의 영원화와 실재화를 모색하려는 의욕이 있고 이로부터 종교는 탄생한다. 기독교는 어느 것과도 차별화되는 종교적 위치와 본질을 갖는다. 기독교의 진리는 그리스도 자체다.

 

건전한 종교와 참다운 신앙은 언제나 좋은 인간성 위에 건설되는 법이다.”p113

 

죽음에 이르는 병을 자각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과학이나 도덕이면 족하다. 구태여 종교에까지 이를 필요는 없다. 특히 인생은 육체적인 행복, 현세적인 이권, 세속적인 권력이면 다 된다고 믿는 사람들에게는 종교가 필요하지 않으며, 종교도 그들을 위해 있는 것이 아니다.”p117

 

여기서 죽음에 이는 병을 자각한다는 것은 우주적인 무한과 허무 앞에서 스스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불안과 절망에 처한다는 것이다. 나 자신을 무한이나 영원 앞에서게 했을 때 내 영혼과 정신에 찾아드는 절망과 비참에 대한 자각이 곧 그것이다.”p118

 

4강 기독교와 진리의 문제

기독교의 진리는 영원한 진리다. 이유는 성경의 교훈이 언제나 초월적 실재, 즉 창조주의 뜻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인류의 과제에 대해 기독교는 솔직한 진리를 말해준다. 기독교의 말씀이 곧 복음이며 복음은 기독교가 전하는 교훈이며 성경이다. 그리고 이 복음은 세계 문제에 명확한 답을 제시한다.

 

1. 창조의 진리 <이 세계와 우주는 왜 존재하며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신라”(1:1)

2. 구원의 진리 <인간은 어디서 와서 무엇을 하다가 어디로 갈 것인가?>

하나님이 쌍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3:16)

모든 인간은 마침내 그리스도에 의하여 구원을 받아야 한다. 회개와 구원의 사실을 통해 영원한 사랑의 존재인 하나님의 품에 안기기 위해 인간은 존재하며 우리는 살고 있다’ p204

 

3. 그리스도의 재림 진리 <인류와 역사의 종말은 어떻게 될 것인가?>

성경의 최종약속인 그리스도의 재림에 관한 진리가 곧 그것이다” p205-6

 

기독교는 지금까지 무엇을 해왔으며 앞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지금까지...

세계 역사를 통해 기독교가 무엇을 해왔는지를 알 수 있으며 특별히 발견할 수 있는 한가지 원칙은 신의(神義)의 소()를 가지고 인간의 대()에 승리하며 진리의 질()을 가지고 악의 양()을 정복한다는 것이다.

앞으로...

진리운동, 참된 신앙운동 - 말씀으로 인간을 개혁하는 일을 해야한다. 인간은 어디서 와서 무엇을 위해 살다가 어디로 갈 것인가를 가르쳐 인간의 마음과 심정, 성격, 인생관을 완전히 새로운 방향으로 바꿔 새 인간을 만들어 줄 수 있어야 한다. 복음은 세계 문제에 명확한 담을 제시한다.

사랑과 평화의 사명 기독교의 사랑은 구원의 사랑, 그리스도의 뜻이 이 땅 위에 건설되기 위해 스스로의 희생을 각오하고 결단하는 것이 다름 아닌 사랑의 역사를 건설하는 일이다.“p250

 

사실 개신교와 기독교는 구분되어 사용하는 단어이다. 이를 앎에서 개신교가 주는 현시대의 어감과 비신자들을 위해 기독교란 단어를 사용했을거라 이해된다.

 

저자의 말대로 현시대의 교회는 나약해졌고 그리스도인 개개인의 부족함으로 인해 주님께서 주신 역사적 사명과 뜻을 이 땅에서 제대로 실천하지도 인정받지도 못하고 있다. 이러한 책임은 나에게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책을 다 읽고나면 부담감을 갖게되는 책이다.

 

주님께서는 개인적인 사명도 주셨지만 그리스도인 전체를 향한 공동체적인 사명도 또한 주셨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사명이 무엇인지에 대해 다시금 깨닫게 해주는 책이다. 한 번에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몇 번 더 읽으며 소화한다면 복음을 전할 때 듣는 상대방의 필요를 이해하고 이에 맞는 복음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지혜가 되어주는 책이라 생각된다. 쉽지 않은 책이지만 그만큼 읽고나면 뿌듯한 보람 또한 선사해주는 책이다.

 

특별히 사랑의 왕국, 사랑의 역사를 건설하는 일이라는 표현이 참 좋았다. 다른 종교와는 차원이 다른 사랑, 구원의 사랑이자 창조주 여호와 하나님의 사랑을 충만히, 풍성히 받은 자답게 부디 가장 마지막에 저자가 기록했던 말씀처럼 나 또한 그리고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한 알의 밀알로 이 땅에서 살아 많은 열매 거두게 되길 소망해본다.

 

Who is Next?

기존의 읽었던 기독교 변증책들과는 또 다른 느낌이기에 비그리스도인이 읽는다면 어떻게 생각할까?란 궁금증이 생긴다. 물론 그리스도인들이 읽는다면 저자가 생략한 성경적 이해에 대해 더욱더 공감을 할 수 있겠지만 특별히 이 책은 비그리스도인들에게 권해보고 싶은 생각이 든다. 또한 기독교의 역사적 사명과 현시대를 살아가는데 복음의 역할과 능력에 대해 회의감이 드는 그리스도인들에게도 이 책을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