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신여성은 구여성과 다른 삶을 살았을까? - 구효부 vs 신문물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55
손경희 지음, 조환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왜 신여성은 구여성과 다른 삶을 살았을까?>에서는 구여성 대표로 '구효부', 신여성 대표로 '신문물'이 서로 법정에서 자신의입장을 밝히는 내용이랍니다.

구효부의 남편이 신문물과 정분이 나고 급기야 한집에서 살면서 배운자의 위선을 고발하고 명예훼손죄를 로 심문물을 비롯한 신여성을 고발하면서 법정 공방이 시작 됩니다.

이번 한국사 법정 시리즈는 같은 시대 서로 다른 '여성'의 삶을 구여성과 신여성의 이야기라 ~`꽤 재미있게 읽어보았다. 

재판 첫째날, 신여성과 구여성은 어떤사람인지부터 어떻게 교육을 받앗는지, 옷차림, 머리모양, 시대 배경 까지 명확히 알게 되지요..



 

재판 둘째날부터 본격적으로 신여성과 구여성의 각기 다른 삶을 들어볼수 있답니다.

조선시대 양반가에서 태어났지만 제대로 교육을 박지 못하고, 규방가사를 읽으면서 세상과 마주하려는 구효부, 반면 여성의 자유와 자기의식을 표현하기 시작하고 전문직에 종사하면서 사회적문제를 고민하며 살아 남기위해 몸부림치며, 자신의 삶을 살고자 원했던 신문물...

식민지에서 배움을 갈구하는 여성들에게는 그들이 뭔가를 이루려는 절박함에 수많은 노력을 하고 그들의 삶의 방식이 훗날 많은 여성들이 뒤따르게 된거 같다.

그러다 보니 신여성들은 정상적인 혼인이 어렵다는 애로사항이 생겻다.

1920년대 자유연애에 의해 이루어졌다지만, 다들 조혼이고 배운여성들이 혼인 자리를 찾기란 참 어려웠다. 

대표적으로 윤심덕, 나혜석이 있었는 데...그들이 증언석에서 자신의 입장과 시대 현실을 그들의 입을 통해 듣는 과정에서 나름의 아픔을 느낄수 있었다.


 

울 딸아이가 조선시대에 태어나지 않았던게 다행이라고 말하는 걸 보니~~이책이 참 흥미로웠나 보다. 초등 아이들에겐 다소 어렵지만 중,고등 뿐만 아이라 역사서를 즐겨읽는 어른들도

읽어두면 새로운 역사의식을 만들어 갈수 있을꺼같다는 생각이 든다.

앞전에 읽엇던 한국사 법정 시리즈 보다는 다소 무겁지 않은 소재이다보니 읽는 재미도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