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행성 인간을 위한 지적 생산술 - 천재들이 사랑한 슬기로운 야행성 습관
사이토 다카시 지음, 김윤희 옮김 / 쌤앤파커스 / 2020년 7월
평점 :
절판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는다."는 말이 있다. 밤은 놀거나 쉬는 시간이지, 생산적인 시간이 아니라는 편견 때문이다. 하지만 이른 아침에 벌떡 일어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아침형 인간'이 되기 위해 도전하지만 실패를 하기도 한다. 시대를 막론하고 아침형 인간이 각광 받았었지만, 내가 아침형 인간이 아닌데, 언제까지 시대에 맞춰 나를 맞출 수는 없지 않은가. 최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시간에 집중적으로 지적 생산을 하고, 성과를 내면 된다.

세상의 흐름은 우리 같은 야행성 인간에게 유리하게 바뀌고 있다.

 

타고난 야행성 인간만 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직업 특성상 교대 근무로 밤에 일하는 의사, 간호사, 경비원 등은 물론이고 자기계발에 투자할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회사원, 낮에는 가사로 바쁜 주부도 지적 생산을 위해 밤을 활용해야 한다.

인간의 행복은 자신의 골든 타임을 얼마나 충실하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기준에 나의 삶을 억지로 맞추지 않아도 된다. 최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시간에 집중적으로 지적 생산을 하고, 성과를 내면 된다.- 프롤로그

 

 

 무리한 아침 기상이 철학자 데카르트 죽음의 핵심 원인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가?

밤을 새며 일하기를 좋아했던 데카르트. 스웨덴 여왕은 이른 아침부터 철학 강연을 해주기를 바랬다.

체질적으로 맞지 않는 기상 시간과 살을 에는 추위 때문에 페렴에 걸렸고, 결국 스웨덴에서 생을 마감했다.

아침형 인간이 되겠다고 애쓰다가 요절할 수 있다.

 

저자는 데카르를 예를 들어 밤의 생산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아침형 인간이 되겠다는 생각에 얽매이지 말고 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법들을 알려준다.

자기계발을 시작으로 독서하는 여러가지 방법들, 독서가 귀찮은 사람들에겐 TV, 영화, 라디오, 인터넷을 통한 활용법도 알려준다. 이처럼 여러가지 방법으로 얻어낸 지식을 효과적이고 생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 알려주고, 스마트폰 메모법부터 구체화하는 방법까지 여러 실전 방법들을 소개해준다.

 

하루를 마무리 하는 밤. 피곤에 지쳐 그냥 잠들거나, 좋거나 나쁜일이 있어 술한잔 기울이는 날도 있겠지만 우리의 수많은 밤시간들을 오직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지적 생산의 기쁨을 누려보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