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예측, 부의 미래 - 세계 석학 5인이 말하는 기술·자본·문명의 대전환
유발 하라리 외 지음, 신희원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2019년 초봄에 방송된 NHK 다큐멘터리 <욕망의 자본주의 2019 : 거짓된 개인주의를 넘어서>의 내용을 엮은 책이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 플랫폼 제국의 미래의 저자 스콧 갤러리. 암호화폐 개발자 찰스 호스킨슨.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장 티롤. 젊은 철학자 마르쿠스 가브리엘 이 다섯 명의 인터뷰를 담은 책이다. 지금 자본주의가 향하는 곳은 어디며, 그 변화의 한가운데 선 현대 문명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야기하고 있다.

 

 

 

 

오늘날 각광받는 인공지능과 생명공학, 나노기술 등의 첨단 과학과 신기술은 앞으로 수십 년 안에 세계를 극적으로 바꿀 것입니다. 이것은 피할 수 없는 흐름입니다. 하지만 결정된 바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누구도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유일하게 아는 것은 지금 상태에 머무르는 게 더 이상 불가능하는 사실뿐입니다. P.34 유발 하라리.

 

 

 

유발 하라리는 기술이 인간을 대신해 인간이 구직시장에서 밀려날 때 우리가 걱정하고 지켜야 하는 대상은 '일'이 아니라 '인간'이라고 말합니다. 기술이 너무 큰 힘을 갖게 되어 우리가 그 노예로 봉사하게 두어서는 안됩니다. 크게는 인간을 위해 기술을 봉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정부 차원에서 유전자 조작 기술, 자율 무기 체계 같은 위험한 기술 개발을 규제해야 한다. 개인 수준에서는 가령 스마트폰이 자신의 생활을 지배하고 있는 건 아닌지 점검하고 자신의 존재와 삶에 대한 통제권을 알고리즘에게 쉽사리 넘겨주지 말아야 한다.

 

 

 

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은 그 첫 글자를 따 가파로 일컬어진다. 우리는 이미 이 거대한 플랫폼 기업들 없이 일도 생활도 할 수 없는 세상에 살고 있다. 가파가 제공하는 혜택을 인지하면서도 동시에 그들의 도를 넘은 행태를 격렬하게 비판하는 그와 함께, 과학기술이 주도하는 현대 자본주의의 위험성을 생각해봤다. P.43 스콧 갤러웨이

 

 

 

GAFA의 본질은 기업입니다. 이들의 독점이 혁신을 저해하고, 고용을 파괴하고, 이들의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권력을 휘두르는데 아무런 규제가 없다는 점에서 GAFA의 분할과 파괴와 혁신을 이뤄낼 선순환을 기대해 보는 스콧 갤러웨이의 인터뷰가 인상적이었다.

 

 

인공지능, 기계학습, 빅테이터, 알고리즘 등 첨단 과학과 신기술이 개인의 일자리와 소득뿐 아니라 세계 경제와 정치 시스템을 근본부터 뒤흔들 것이다. 가짜 뉴스가 만연한 세상에서 우리가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알 권리와 개인의 삶의 존중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이 책은 현대 자본주의 문명의 향방을 전망한 책이다.

부와 경제의 흐름을 예측하는  5인의 박사들이 나눈 인터뷰로 중 스콧갤러웨이가 말한 GAFA에 대해 개인적으로 많은 생각을 해봤다.

 

 

 하루종일 스마트폰을 들고 사는 우리는.. 아침에 눈을 뜨게 울어주는 알람부터, 날씨 확인, 스케쥴 확인 등등 스마트폰을 확인하는것부터 일과를 시작해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는걸로 하루를 마감한다. 과학 기술이 주도하는 위험성에 대해서 생각하는 사람이 몇명이나 있을까?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좋아져. 아주 먼 거리에 있는 물건도 카메라로 찍어서 확인하면 깨지지 않고 아주 작은 부분까지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스마트폰 광고를 본적이 있다. 난 그게 대단한 기술이다 라고 생각이 들지 않았다. 무섭다 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좋아지는데 그게 우리를 어떻게 위협할지 어떤 위험에 빠지게 만들지 알려주는 광고는 없다. 그 기술 좋은 카메라를 어떻게 쓰라는 주의점은 알려주지 않는다. 우리는 하루종일 자의든 타의든 원하지 않아도 보이지 않는 시선들에 노출되어 있다. 거리마다 있는 CCTV. 개인들의 차에 달려있는 블랙박스. 사람마다 다 들고 다니는 카메라 성능이 너무 좋은 스마트폰 등이 그 시선이다. 그것들로 인해 개인의 사생활이 위협받고 있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가?

우리는 어쩌면 편리함 속에 자유를 버리고 있지는 않나 라는 생각도 든다. 스마트하다고 스마트폰에 너무 의존하는 삶은 살지않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