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는 왜 자신의 성공을 우연이라 말할까 - 성공을 소유하지 못하는 여성들의 가면 증후군 탐구
밸러리 영 지음, 강성희 옮김 / 갈매나무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가 봐도 똑똑하고 유능한 여성들의 내면에서 지독한 자기 불신의 목소리가 흘러나온다.

'나는 사기꾼이야. 정체를 들키면 어떻게 하지?' 오랫동안 이 현상에 대해 연구해온 저자는 이러한 불신이 바로 '가면 증후군'에서 비롯된다고 말한다.

 

가면 증후군은 자신이 유능해 보이는 가면을 쓰고 있다고 믿는 증상을 뜻한다.

확실히 해두자면, 가면 증후군은 자기가 아닌 다른 사람인 척 행동하는 것과는 다르다.

진짜 사기꾼처럼 정상에 올라서기 위해 속임수를 쓰는 행동을 가리키는 것도 아니다.

가면 증후군을 낮은 자존감의 다른 이름으로 오인하기도 쉬운데, 이 둘은 같지 않다.

 

이 책을 처음 접할 때 왜 사람들이 아니고 여자일까? 남자는 가면 증후군이 없나?라고 생각하며 책을 펼쳤는데, 아니나 다를까 이 책에서 다룬 대상이 왜 남성이 아닌 여성인지 그 이유가 나온다. 가면 증후군이 여성을 더 많이 억압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남자들도 두려움을 느끼지만 그 감정을 억제할 뿐이고, 남자들 중에는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능력 없는 남자들이 많은데 반해 여자들은 자기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유능하고, 계속 정진한다면 생각 이상으로 유능해질 것이기 때문이란다.

 

그럼 당신은 어떤가? 다음 질문에 답해보자.
 

 

 

"난 성공했어요. 그런데 어쩌다 그렇게 됐냐면요..."

 

당신은 분명 성공했다. 성공을 입증할 증거도 많다. 하지만 마음속에서 '운이 좋았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야.' '인맥 덕분이야.' 등등.. 성공을 둘러댈 핑계를 만들어 내지는 않았는가? 성공의 증거를 최대한 줄이는 당신은 자신이 거둔 성과를 진정으로 소유하지 못한다.

 

우리는 이러한 감정들이 어디서 왔는지 알아야 한다. 당신이 당신 스스로 가짜라고 느낄 수밖에 없는 이유들, 가족들이나 지인들의 기대감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오는 자기 불신. 가족 간, 조직 간에서 인식하는 당신의 모습과 내면에서 느끼는 당신의 모습이 연결되어 있다. 여성의 능력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시선. 과소평가. 고정관념화 같은 것에 나도 모르게 그럴 수 있다고 같이 동조하고 있는 건 아닌지 생각해봐야 한다.

 

이러한 일들을 겪을수록 자신의 성공에 대한 공로를 자신이 아닌 외부 요인들에 돌리게 되는데, 적게는 운, 타이밍, 인맥, 성격 이 이에 해당되는데 이 요소들을 온전히 활용한 건 당신이다. 이건 당신뿐 아니라 모든 사람의 성공을 말한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 능력에 대해 인색한 잣대를 가지고 있다. 이런 평가는 가면 증후군에서 벗어나기 더 힘든 상황을 만든다. 자기 내면의 기준을 낮추고, 내 능력을 확인한 후 그 기준을 바로잡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 책에서 여성을 더 중점적으로 다룬 이유가 여성이 어릴 때부터 실패를 내면화하고 비판을 개인적 공격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남성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자. 중요한 것은 실패에 어떻게 대처하냐이다. 실패가 가져다주는 교훈과 성장을 기억하자.

 

당신에 대한 남들의 생각이 나 당신의 결정이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무시할 순 없다. 하지만 이 관계 때문에 당신에게 오는 성공기회를 놓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실제로 느끼는 것보다 더 자신 있게 행동하는 것도 방법이다. 성공 시나리오들을 보고 관련 질문에 답해보는 것도 좋겠다. 이제 조금씩 모험하고 경험을 쌓고, 실패도 받아들이자.

 

가면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자기 제한적 사고방식과 행동 양상을 이해하고 거기서 벗어나는 일은 한 번에 끝나지 않는다. 문제를 인식하고 변화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이 책을 통해 증후군 패턴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넌 충분히 잘하고 있어."라고 이야기해주자.

우리는 어떤가? 자기 자신에게 야박하진 않은가? 난 아주 많이 내게 야박했다. 다른 이들에겐 관대했으면서, 난 왜 이랬지? 그때 꼭 그랬어야 했나? 또 이러면 어떻게 하지? 걱정과 고민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나를 괴롭히곤 했다.

작가의 말처럼 이 책에서 배운 내용이 절반도 생각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완벽하게 이해하고 기억하고 있다고 해도 그 가면 증후군은 완전하게 없어지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한 가지는 정확하게 알겠다.

내가 나 자신에게 친절해야 한다는 것. 실수와 실패를 경험했을 때 그럴 수 있다고. 다음에 잘 해보자고 다독여줄 것.

그리고 그걸 발판 삼아 더 모험하고 나아갈 것. 이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으니까 말이다.
 

당신은 자신을 평가할 때마다 자신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