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은 도끼다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2-3년 전 즈음부터 서점에 나가보면 항상 인문학 섹셕에서 눈에 띄던 책.

훝어보기도 여러번 하고, 사려고 들고 다니다가 결국은 내려두고 오기 일쑤였는데 

다시, 책은 도끼다를 장만하면서 세트로 같이 장만해버리고 말았다.


100쇄 인쇄기념으로 양장본이 나왔고(하지만 개인적으론 paper backd을 더 선호 ㅠ, 양장본은 들고 다니기 힘들어서리..)

필사노트도 준다.

정말 필요한 것도 쓰기 힘들어 하는 스타일이기 때문에 필사는 성경도 해 본적이 없기에 

이 필사 노트는 어떤 용도로 사용해볼까 생각 좀 해봐야겠다.


일단 책의 디자인은 너무 깔끔하니 이쁘다.

그리고 글씨도 자간이 알맞게 배열되어 있고 책의 특성상 인용구가 많은데 

인용구를 볼때 정신이 분산되지 않는 폰트와 칼라라서 조큐나~

책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 같아서 인용구가 많은 책은 별로 좋아하지 않지만 요 책은 참 읽기 편했다.





이분이 저자.
뭐랄까,,이 사진만 봐서는 홍석천씨가 생각나;;
그렇지만 홍석천씨와는 다르게 카리스마가 느껴진다.
그냥 사진만 봤을 땐 뭔가 무서울 것 같았는데 이분이 조근조근 강의하신 내용을 엮은 이 책을 읽고 나니
차분하고 부드러운 분이지 않을까 싶다.




#1.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관통하는 하나의 플로우가 있다.

'다독을 지양하고 깊이 읽기를 지향하라'

그리고 그 깊이읽기를 통해 작가에게 울림을 준 책들을 소개하며, 독자들이 어떻게 한 권을 책의 뼈와 살을 분리해 한 권을 온전히 울림이 있는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는지 소개한다.

책 뿐 아니라 간간히 그림도 나온다. 

그림이라는 것은 글과 톰과 제리처럼? 아니면, 다윗과 솔로몬처럼? 혹은 좌뇌와 우뇌처럼 불가분의 관계인가보다.

그런데 나는 그림을 보며 단 한번도 감동을 해본적이 없다.

음악을 들으면 마음이 쿵,하며 눈물이 흐르고 시 한편에 몇 날 몇일을 마음이 아렸던 적은 있어도 그림은 글쎄…

아무리 유명한 그림을 봐도, 흠,,,,,밖에는 감동을 하지 못했었다.



시이불견 청이불문. 제가 좋아하는 말입니다. 시펑은 흘려 보고 듣는 것이고 견문은 깇이 보고 듣는 거죠. 비발디의 '사계'를 들으면서 그저 지겹다고 하는 것은 시청을 하는 것이고요.

'사계'의 한 대목에서 소름이 돋는 건 견문이 된 거죠. '모나리자' 앞에서 '얼른 사진 찍고 가자'는 시청이 된 거고요, 휘슬러 '화가의 어머니'에 얼어붙은건 견문을 한 거죠.P49 

딱 내 모습이네 그려. 실제로 모나리자 앞에서 사진만 찍고 얼른 자리를 피했다. 대체 저게 왜 유명한건지 전혀 의미도 모르겠고 사람이 너무 많아서 답답했거든.

그 북적거리는 사람 대부분이 아마 나와같은 마음 아니었을지..ㅋㅋㅋㅋ


그런데 처음으로 저자의 설명을 들으며 한 편에 그림에 마음이 동했다.

이철수의 '마음이 쏟아지는구나!'를 보며 마치 내셔널 지오그래피를 보는 듯한 착각에 빠지며 마음이 뻥 뚤리는 느낌이 든 것.

아,, 이게 그림을 보면서 느끼는 거구나를 처음 경험해 본 것 같다. 


#2.

처음으로 저자가 소개해주며 강독하는 책은 김훈작가의 책들이다.

그 중에서도 자전거 여행.

한국어를 사랑하면서도 한국 소설등은 거의 읽지 않는다. 여러번 밝혔지만 나는 한국인의 그 끈적끈적한 '한'이라는 정서를 당해낼 힘이 없다.

그 우울함? 늪과 같이 사람을 잡아끄는 그 정서.

나와 상극으로 안 맞을 것 같은 작가가 바로 한강…리뷰를 보는 것 만으로도 몸이 바닥에 붙는 것 같으니까.

그런데 처음으로 내 지갑을 열어서 김훈이라는 작가의 '자전거 여행'이란 책을 구입했다. 

김웅현씨가 소개해 주는 김훈 작가의 글귀는 그분이 묘사한 꽃만큼이나 아름다웠다.

내가 정말 잘하고 싶고, 사랑하는 한글의 아름다움이 한껏 bloom한 문장들은 도저히 내것으로 소장하지 않으면 못베기겠더라!


산수유는 다만 어른거리는 꽃의 그림자로서 피어난다.

그러나 이 그림자 속에는 및이 가득하다.

.

.

빛은 이 그림자 속에 오글오글 모여서 들끓는다.P75 

김훈을 소개한 요는 이것이다.

삶이란 빠른 페이스에서 잠깐 브레이크를 걸고 주변을 둘러보는 것. 

그리고 그렇게 주변에 대한 촉수가 발달한 분이 쓴 글을 보고 우리도 그와 같은 사물을 보는 눈을 갖는 것. 

그 촉수를 갖게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책의 역할이라고…


우리가 읽는 책이 우리 머리를 주먹으로 한 대 쳐서 우리를 잠에서 깨우지 않는다면 도대체 왜 우리가 그 책을 읽어야 하는 것이냐. 책이란 무릇 우리 안에 있는 꽁꽁 얼어버린 바다를 깨뜨리는 도끼가 되어야 한다. 카프카. P129 


저자가 소개해준 또 다른 한 분, 김훈 선생님만큼이나 한국어를 아름답게 사용하신 김화영 교수의 '행복의 충격'도 바로 장바구니에 담았다.

이번달은 이모저모로 책관련 지출이 많았어서, 이 아름다운 책은 다음달에 주문해야지.

이 행복한 기다림.

저자는 자신을 통해 좋은 책들의 매출이 올라갔으면 좋겠다고 했다.

명색이 광고쟁이인데 독자를 설득해야하지 않겠냐며…

넵! 제가 호객이 되겠습니다.


#3.

책으로 교감하는 상사와 부하직원이라.

아,,이런 분이 우리 부장님이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책을 읽는 내내 생각했다.

알베르 카뮈와 장 그르니에의 서신으로 메모를 주고 받는 선후배관계.

너무 이상적인 거 아냐??



#4.

그런데 책을 읽다가 이런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사람들에게 느리게 읽기, 그것을 통한 공생과 삶의 아름다움 등을 궁극적인 목표로 갖는다. 


그런데 사람의 성향상 그런것이 잘 안되는 사람도 있더라.

내 친한 이웃중 한 분은 참 똑똑하고 자신의 하는 일에 매우 자신감을 가지고 달린다. 

가족에 대한 사랑과 함께함도, 친구들과의 우정도 별로 중요시 생각하지 않는다. 

딱히 이분이 외국에서 학창시절을 보내고 자본주의에 매우 빠삭해서라기 보다, 그냥 그 사람의 성향이 그런 듯 하다.

목표외엔 다른 것은 별로 가치가 없는..? 그사람에게 너는 아름다움에 가치를 부여해야해!그래야 풍성한 삶을 살 수 있어! 라고 말해봤자 별로 통할 것 같지 않은…

목표를 이루는 것이 내 인생의 풍요야!라고 단박에 말할 것 같은..


또 한사람, 매우 착실하지만 어쩌면 순간의 감정을 잘 끌어내는 것을 못하는 사람을 한 명 안다.

나는 매우 순간의 감정과 inspiration에 충실한 편이라면, 그 분은 조금 더 이상적이며 계획적이며 순간 멈춰서서 주위를 둘러보는 것을 선천적으로 잘 하지 못한다.

그걸 요구하는 순간 그것이 그 사람에겐 하나의 task이고 또한 프로젝트가 되어버린다. 


 난 이 책의 저자가 말하는 그 문장 문장이, 단어단어가 무슨 뜻인지 마음으로 알겠지만, 사람의 성향상 대체 왜?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도 분명 있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