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으면서 죽음을 이야기하는 방법
줄리언 반스 지음, 최세희 옮김 / 다산책방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몇 년 전, 전국의 서점의 베스트 셀러 자리를 차지했던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

난 소설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고 뭔가 베스트 셀러 자리에 있다는 것은 다 마케팅같아라는 혼자만의 생각으로 별로 관심을 두지 않았었다.

그런데  요 몇 달간 맨부커상 수상작들을 몇 권 읽는 와중 한강씨가 이 상을 받아서 깜놀! 이 상은 영연방의 리그라고 생각했는데,,,

또 줄리언 반즈가  그 맨부커 대열에 있다는 사실을 알고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를 읽기 전에 신작부터 읽어 보기로 했다.




 


#1

'웃으면서 죽음을 이야기 하는 방법'은 줄리언 반스가 평생에 걸쳐서 목격하고 생각해온 죽음이라는 주제에 관한 글이다.

사람들이 가장 기피하지만 누구에게나 예외없이 찾아오는 죽음이라는 녀석.

얼마 전 읽은 book thief 라는 책에서는 죽음에게 영혼을 모으는 사신이라는 옷을 입혀 그 사신에 입장에서 인간의 삶을 묘사하고 있었다. 

요즘처럼 자기계발서가 넘쳐나는 시대에 몇권을 책을 훝어봐도 내일을 위해 잘 준비하는 법, 잘 사는 법에 대해서는 구구절절 이야기 하고 있지만 

그 내일의 내일이 오면 죽음이 온다는 것을 일깨워 주는 책은 없는 것 같다. 

감사하게도 나는 신앙이 있기 때문에 신앙안에서 죽음이라는 것을 매일 재조명 한다. 자아의 죽음부터 육신의 죽음까지…

죽음이 그것으로 끝이 아니라 진짜 생명의 시작이라는 것도, 그리고 지금과 내일을 이렇게 열심히 성경을 나침판 삼아 살아가는 것도 그 목적지를 향해 가는 순례임을 알고 있다.

(나에게는 알고 있음이지만 신앙이 없는 다른 사람에겐 수많은 죽음을 맞이하는 방법 중 하나겠지…)


#2

책의 목차를 보면 목차라고 부르기도 민망하다.

웃으면서 죽음을 이야기 하는 방법.

 이것이 전부;;


목차 그대로 처음부터 끝까지 할머니 할아버지의 죽음부터 시작해 부모님, 지인들, 사상가들이 생전에 죽음에 대해 가졌던 태도,

그리고 그들이 죽고 난 후의 저자의 심정을 한 호흡에 뱉어낸다. 

사실 그래서 읽기가 조금은 힘들었다. 이 호흡이 딸리는 독자가 저자의 생각의 흐름을 따라가려니 뱁새가 황새따라가다 가랑이 찢어지는 느낌을 받았던 거지.

호홉도 호흡이지만 작가의 글쓰는 스타일이 번역이 되었을 때 그 임팩트가 줄어드는 스타일의 작가인 것 같은 느낌이 오더라. 

장난꾸러기 같은 언어유희와 영국 특유의 시니컬한 농담을 한국어로 번역을 하는 와중에 어쩔 수 없는 벽이 느껴져서 책에 100%로 흡수되기 힘들었던 것 같다.


예를 들면, 이 책에서 어찌보면 몇 번이고 반복되는, 주제구라고도 할 수 있는 형과의 대화를 보면


나는 신을 믿지 않지만 신이 그립다.

누가 신에 관해 물으면 나는 이렇게 답한다.

옥스퍼드, 제네바, 소르본 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쳐온 형에게 내 발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형은 딱 한 마디만 했다.

'질척해' 

이 부분에서 질척해라는 표현. 한국어로는 잘 쓰지 않는 표현이며, 저자의 형이 의미했던 것이 어떤 느낌인지 대충은 알겠지만 딱 와닿지 않는다.

이 부분이 나올때마다 괜히 혼자 민망한 이 기분은...

이런 비슷한 기분을 예전 빌 브라이슨의 발칙한 유럽산책을 읽으면서도 느꼈었다.

저자가 사용하는 영국 특유의 그 풍자적인 slang을 번역한다는 것은 어떻게 해도 한국어로 완벽하게 옮기기가 힘들 것 같다. 

더군다나 죽음이라는 것을 많은 철학자(형 포함- 이 형 참 꽤나 sarcastic하다;;)들의 말과 의견을 인용해서 풀어내야 하는데, 번역하기도 읽기도 쉽지 않은 책인 것은 틀림이 없다.


#3

하지만! 읽기 쉽지 않다고 포기하면 안될 책.

시대를 뛰어 넘는 문학과 철학가들에게서 죽음에 관한 통찰을 얻으려 하는데 이 정도는 노력해야지.

한 번이 아니라 두세번은 읽어봐야 진짜 저자가 무슨 말을 하고자 하는지 공감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밀란 쿤데라의 작품같아...


#4.

저자는 젊을 적엔 무신론자 였지만 지금은 그 영역, 신을 인정하는 그 영역은 인간의 능력으로는 불가능하다는 불가지론자의 입장이다.  

이 책의 첫 줄이자, 책의 표지에도 나오는 quote.

I don't believe in God but I miss him.

아무도 그 순간이 어떤지, 그곳이 어떤지 전해 줄 수 없지만 누구나 100% 가는 죽음 후의 세계에 대한 신비스러움과 공포, 그리고 어린 시절부터 목격한 죽음이 

나이가 들자 불가항력적으로 신의 존재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었나보다.

갑자기 박진영씨 생각이 난다. 

자신의 인생의 최정상에서 자신은 무엇을 위해 달려가하는 문제가 신을 찾게 만들었고 그 고민과 신을 만나고 싶은 바램을 담아 Half time이란 앨범을 냈지만

결국 그 고민의 끝에서 신을 만나지는 못했나보다. 

그 뒤에 나온 앨범은 너무 저렴한 가사로 정말 인생을 건 고민을 한 사람이 맞나 싶을 정도로 실망스러웠기 때문에... 

줄리언 반스는 언젠가 또 죽음에 관한 책을 낸다면(사실 그의 작품 전체가 죽음이라는 코드로 연결이 되긴 하지만) 

그때는 ?가 아닌!를 가지고 있는 책을 내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