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선비, 장터에 가다 처음읽는 역사동화 8
세계로.황문숙 지음, 최현묵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선비, 장터에 가다

전통 시장으로 배우는 우리역사


옛날 장터와 옛날 상인들의 활동을 통해 우리 역사와 문화를 배워요! 


 옛 장터의 모습은 어떠했을까요?

현재의 시장모습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지...

그럼 시간여행 해보실래요? ㅋㅋㅋ



 

 

 

 

 


동래에서 유명한 상인 정원우의 생일잔치에 참석하게 된 이선비!

그곳에서 외국과의 무역으로 돈을 번 역관, 상인 들을 만나고

 상인들의 모임인 상단을 따라다니며 상업 활동을 배우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생각만큼 쉽지는 않아요. 상업에 대한 나라의 규제, 거대 상인들의 횡포~

이선비는 상업활동에 대해서 얼마나 잘 풀어나갈까요~ ^^



오늘날처럼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지 못한 옛날에는 물건을 사고 운송하는 일도,

사람들이 만나고 소식을 전하는 일도 쉽지 않았겠죠.

그런 시대에 장터는 지금과는 다른 큰 의미를 지니고 있었죠.

 장터는 사람들의 말과 생각이 모이는 곳이었고, 그 지역 특유의 분위기가 형성되는 곳으로

 장터는 사람들의 말과 생각이 모이는 곳이었고, 그 지역 특유의 분위기가 형성되는 곳이였어요.

그러나, 상업활동은 나라에서 허가를 받은 일부 상인들만 할 수 있었고, 벼슬을 하지 못한 양반이나

땅이 없는 농민들은 밥이 없어 굶어도 장사를 하지 못했다고 해요.

이선비는 가난한 양반과 농민들이 자유롭게 상업활동을 할수 있도록

온갖 규제를 없애는데 힘을 씁니다.


장터를 통해서 조선시대의 경제활동 및 우리 역사와 문화를 배울 수 있었어요.

옛사람들의 지혜가 녹아 있는 전통 시장에 대해 알게 되고,

저절로 우리 역사와 문화에 익숙해 지는 시간이 될 수 있었던거 같아요.


저도 여행을 가면 그지역의 시장을 꼭 들렀던거 같아요.

아무래도 시장이 그지역만의 고유한 특별함을 지니고 있어서 그런거 같아요. ^^

요즘은 밖에 나가지 않아도 아주 편리하게 물건을 사고팔수가 있지요.

저는 가끔 시장에 나가서 양손 한가득 물건을 사가지고 들어오는데요~

나름 마트보다 더 저렴하게 구입하는것도 있고

장사하시는 어르신들의 모습을 보면서 또 배우는점도 있고해서 아이들과 함께 한답니다.



이선비와 함께 하는 옛장터여행~

옛날 장터의 모습에서 조선시대의 경제 활동과 우리역사와 문화를 쉽게

배울 수 있는 <이선비, 장터에 가다>였어요. ^^





 


 

이 책을 홍보하면서 미래엔 아이세움으로 부터 무료로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