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그리는 소녀, 신사임당 아이세움 열린꿈터 19
이인아 지음, 경혜원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16년 9월
평점 :
품절


 

 


꿈을 그리는 소녀, 신사임당


 

어렸을 때 꿈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 신사임당처럼 '현모양처'가 되겠다는 친구들이 종종 있었어요.

지금의 시대에는 신사임당처럼 그림을 잘 그리고 글을 잘 쓰는 사람이었다면 여성이라도 큰 성공을 할 수 있었을 텐데 신사임당이 살았던 조선 시대에는

아무리 여자가 뛰어나도 재능을 발휘할 수가 없었답니다.

여자로 태어났기 때문에 사임당이 아무리 학문의 깊이가 깊었다 하여도 사회로 나가거나 나랏일을 할 수 없었어요.

그나마 양반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책을 접하고 그림을 그리는 것이 자유로울 수 있었지요.

'꿈을 그리는 소녀, 신사임당'은 신사임당의 성장 과정과 꿈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담고 있어요.

어릴 적 신사임당의 이름은 '인선'이랍니다.





검은 대나무가 무성하기로 유명하여 붙여진 이름인 오죽헌의 외가에서 살았고 인선의 아버지는 한양에 다녀오는 길이면 어린 신사임당에게 화책을 선물로 주곤 했어요.

어릴 적 인선의 모습을 보면 가족들의 사랑을 많이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양반으로 태어났어도 공부를 할 수 없었던 사회 분위기었지만 외할아버지는 글을 알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며 남자와 여자가 다르지 않다는 걸을 손녀들에게 가르쳤어요.

신사임당의 외할아버지와 부모님은 자녀 교육에 있어서 남녀의 차별을 두지 않으셨답니다.

책을 읽고 그림을 그리는 등 자유로운 환경을 만들어주었지요.

요즘 용현군과 한자 공부를 하고 있는데 '익힐 습' 한자가 나오더라구요.

어린 새가 나는 법을 배우기 위해서는 백 번의 날갯짓이 필요하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한자를 알려주며 어떻게 생기게 된 한자인지는 말해주지 못했는데 이렇게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되었네요.





'한 뼘 더 들여다보기'에서는 조선 시대의 여인의 삶과 이야기에 나왔던 그림에 대한 설명이 되어 있어요.

뿐만 아니라 이야기에 등장하는 내용에 대한 설명과 배경 지식도 담고 있기 때문에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가족의 많은 사랑을 느낄 수 있었고 인선이 그린 그림을 보고 닭이 착각할 정도였다는 이야기에 놀라기도 했답니다.

당당한 이름을 갖고 싶었던 인선은 스스로 '사임'이라는 호를 지었어요.

'꿈을 그리는 소녀, 신사임당'은 그림에 얽힌 여러 이야기와 사회로 나가기는 어려웠지만 자신의 꿈을 펼쳤던 조선 시대의 여인들,

혼례와 아들 율곡 이이의 이야기까지 신사임당의 일대기를 볼 수 있었어요.





텔레비전의 즐겨봤던 프로그램에서 했던 이야기가 생각이 나네요.

자신의 나라에서는 여성의 교육이 거의 이뤄지지 않는다고 하더라구요.

아이를 낳고 가르치는 사람은 엄마인데 자신의 나라에서는 그런 엄마가 전혀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이야기었어요.

아이를 키우고 교육하기 위해서는 꼭 여성이 먼저 제대로 된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이야기랍니다.

이 이야기를 듣고 신사임당이 생각이 났답니다.

아무리 자신의 능력이 뛰어났다고 해도 여성이기 때문에 그 능력을 발휘할 수 없었던 시대.

우리가 그 시대를 살았다면 어떻게 살아갔을까요?





조선 시대와 비교하면 우리는 참 좋은 시대에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이런 좋은 환경 속에서도 불만을 가지는 경우가 많이 있죠.

풍요로운 생활 속에 진짜 내가 하고 싶은 것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요.

또한 아직도 수많은 차별 속에 소중한 꿈을 펼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어떠한 환경 속에서도 노력하고 포기하지 않는다면 우리도 신사임당처럼 훌륭한 사람이 되어 있을 거예요.

저 또한 아이들의 꿈을 응원해주는 부모님이 되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