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전 빛나는 우리 고전 그림책 시리즈 3
김진경 글, 강우근 그림, 권순긍 자문 / 장영(황제펭귄)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토끼전>

 

고전이 그대로 느껴지는 책입니다

<토끼전>의 이야기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거에요

하지만 읽다보면 이런 내용이었을까? 조금 다른 것 같기도 한데?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이유는 바로 작가가 소설을 지었을때 예전에는 그 한편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보태고 빼기를 해서 내용이 조금씩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용하다는 의원을 다 불러도 용왕의 병은 낫지를 않았어요

지나가던 하늘신선이 용왕의 병을 보고 토끼 간을 먹으면 나을 수 있겠구나 하는 말에 신하들 다 불러서 누가 육지로 갈것인고 묻지만 다들 이런 저런 핑계로 외면하고 말아요

그런데 저는 이부분이 너무 재미있어서 아이에게 읽어줄때 키득거리면서 웃기까지 했답니다

신하들이 서로 못가겠다고 하는 대목인데 '게'의 변명이죠

<"하오나 사람들이 저를 워낙 좋아하여 철철이 꽃게탕으로 찜으로 간장게장으로 식탁에 올리니 하릴없이 밥반찬이 되면 어찌 원통하지 않겠습니까?"하고거품을 무네>

얼마나 웃었는지 몰라요

아마도 시대적인 배경으로 소설이 만들어졌기때문에 그 시대에는 절대로 나올 수 없는 대사였어요

현재라서 가능한 문장이여서 눈에 띄더라구요

서로 못간다고 할때 낮은 벼슬아치인 자라가 토끼를 데려오겠다고 하고 육지로 떠났어요

토끼의 그림 한장 들고 첩첩 산중을 지나 우여곡절 속에 토끼를 만났는데 토끼는 용궁으로 가지 않겠다는 거에요

용왕님께서 훌륭한 인재를 구해오라하여 토선생을 찾아 왔다고 하면서 높은 벼슬을 내린테니 함께 가지고 설득을 했고 용궁으로 간 토끼는 용왕과 자라의 계략을 알게 되고 꾀를 내서 다시 육지로 돌아오게 됩니다

 

 

 

 

고전에서 <토끼전>은 잘못된 정치를 하는 지배계층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허황된 꿈을 꾸는 토끼는 백성을 의미합니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서 육지로 간 토끼가 자라에게 간 대신 자신의 똥을 주는 대목이 있어요

그 똥을 용왕이 먹었는지 안먹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는 문구가 함께 있구요

자라가 살아있는 것을 보면 용왕이 병이 나았을거라고 암시해주기 때문에 용왕은 그 똥을 먹었을것 같네요^^

물론 제가 해석하기에는요

지금도 정치는 국민들에게 박수 받을 만큼 잘 하고 있지는 않은것 같아요

그렇기때문에 입에서 입으로 전해내려오는 이야기 <토끼전>은 어쩌면 현시대를 담고 있는 내용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