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망으로 열심히 살고 있습니다 - 일기 쓰는 세 여자의 오늘을 자세히 사랑하는 법
천선란.윤혜은.윤소진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들은 왜 나한테 말도 안 하고 셋이서 이렇게 웃기고 눈물 나는 대화를 나누고 있던 거지.


천선란은 천선란이고 윤혜은은 윤혜은이고 윤소진은 윤소진인데 이들의 대화에서 나는 나를 발견한다. 좋아하는 것을 표현하는 걸 어려워하는 것, 머리로 음악을 듣는 것도, 산뜻한 사람이 되고 싶어하는 것도. 세 작가의 동글동글하고 똑바른 말과 글에 편승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 그러하긴 하지만) 읽는 동안 너무 나 같고 우리 같아서 코 찡했다가 웃겼다가 엉망으로 열심히 읽었다.

천선란 작가님을 워낙 좋아하니 책을 펼칠 때는 자연히 천선란 작가님의 글에 밑줄을 그어가며 읽을 거라 짐작했는데 별안간 윤혜은 작가님의 글에 밑줄을 좍좍 긋는 나를 발견했고 .. <일기 쓰고 앉아 있네, 혜은>을 읽고 싶어졌달까 ..

일기. 일기는. 일기는 나에게 참 .. 어렵다. 어떻게 말을 시작해야 할지도 모르겠고. 무슨 말을 적어내려야 할지도 모르겠고. 너무 적나라한 감정을 적으면 누가 볼까 왠지 겁나고. 왜냐하면 어렸을 때는 정말 누가 '검사'를 했잖아. 그게 무슨 일기니 .. 어렸을 때는 정말 일기쓰는 게 너무나도 고역이라 그냥 그날 벌어진 일들을 나열했었고,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은 날은 그날 먹은 음식 중 제일 맛있었던 것을 자세히도 써내렸었다.

그런 내가 이 책을 덮을 때쯤 신년 다이어리를 하나 살까 고민하게 되었다면 .. 유난히 오늘을 기록하고 싶어질 때 펼쳐서 아무렇게나 쓰는 사람이라는 추구미가 생겼다면 .. 나만 피곤한 일이려나 ..


세 작가는 일기 안에서 자신을 알아가는 듯 보였다. 나는 그런 사람인 것 같고, 어떤 걸 좋아하고 또 꺼려하는지,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 무엇이 필요한지.

일기는 어떤 날의 나에 대해서 쓰는 것인가보다.


딱 이 셋만큼만 나를 알고 쓰고 얘기할 수 있게 되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시간이 드는 일이겠지.




좋아하는 게 많은 건 그저 내 안에 담아두고 쌓아두고 간직하면 되지만 표현하는 건 꺼내야 하니까. 꺼내어 주는 걸, 어릴 때부터 못했던 것 같다.

-p. 23

쉼 없이 운 덕분에 나는 숨죽여 우는 것이 무엇인지, 사람이 바닥을 칠 때 나는 소리가 어떤 건지 알게 되었다.

-p. 26

나는 나로 사는 것이 너무 지겹다고 하면서도 스스로에 대해 이야기 하기를 멈추지 못하는 사람이다. 달리 말하면 그건 내가 아직 나에게 완전히 질려버리지는 않았다는 뜻이다.

-p. 26

누군가한테 기대는 것도 방법으로 가진 사람이었으면 좋겠어요.

-p. 78

인생은 광활하고 내게 남은 파편은 두 손바닥 안에 들어올 만큼 적어서, 어찌 보면 나는 엄마의 삶을 쓰고 있다. 소설을 쓰고, 시나리오를 쓰듯이. 근데 이렇게라도 해두지 않으면 본인마저 잊어버린 그 삶을 누가 보관해주지?

-p. 91-92

그래서일까, 누군가 나를 더는 보고 싶지 않다고 말할 때면 화가 나기보단 선선히 인정하게 된다. 나도 아는 나를 너도 알게 되었구나, 싶은 마음.

-p. 114

관계가 깊어질수록 현명하게 이어가고 싶고 망치고 싶지 않다는 생각

-p. 157

다른 사람의 눈에는 지루해 보일 수 있어도 모두가 애를 쓰고 있다는 분명한 사실. 누구도 호명하지 않았음에도 같은 자리에서 제 몫을 해내는 사람은 그 자체로 귀하다는 걸 빵을 기다리고, 책을 기다리며 알게 되었다.

-p. 171

어떤 음악은 귀로 듣는 게 아니라 마치 머리로 듣는 것 같았으니까. 애꿎은 상념 대신 머릿속을 가득 채우는 멜로디와 노랫말은 내가 처한 상황을 덜 자각하게 했다.

-p. 193-1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