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서즈 비니어드 섬 사람들은 수화로 말한다 한길사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서양편 10
노라 엘렌 그로스 지음, 박승희 옮김 / 한길사 / 200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얼마 전 우연히 서울시교육청의 공문을 보다가 교육청 슬로건이 눈에 띄었다. "모두가 수화로 인사할 수 있는 사회, 서울교육이 만듭니다." 사실 교육청에서 장애 관련 교육 정책을 한다는 것이 놀라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이번엔 뭔가 다르게 느껴졌다. 단순히 기존의 장애인권 교육의 차원이 아니라,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하나의 사회에서 같은 구성원으로써 살아가는 방식을 고민하겠다는 의미로 보였다. 물론 계속해서 지켜봐야겠지만 그 변화만큼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싶었다.

#2.
<마서즈 비니어드...>는 21세기를 살아가는 현재의 우리 사회보다 더 앞선 듯 보이는 모습을 그려낸다. 심지어 200년도 더 지난 19세기의 모습을 복원해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는 여전히 장애를 가진 이들이 관계와 소통, 대화와 정보에서 배제되는 데 마서즈 비니어드 섬은 그렇지 않았다. 그곳은 장애인들에게 비장애인의 질서를 수용할 것을 강제하지 않았고, 사회가 장애인의 질서를 받아들였다. 그렇게 농인과 건청인은 하나로 스며들었고, 완벽히 하나의 구성원이 되었다. '미래적인 과거'라는 역설적 표현이 떠오르는 이 섬의 모습은 우리가 장애인을 비롯한 사회적 소수자를 어떻게 표용할 것인가에 대한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3.
청각장애인이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은 마치 당연한 것처럼 여겨진다. 그 한계를 뚫고 비장애인의 세계에 진입한 이들에겐 찬사와 경외를 표하지만, 그렇지 않은 이들에겐 관심조차 없다. 하지만 비니어드 섬은 달랐다. 청각장애인이 납부하는 세금은 건청인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소득 격차가 크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게다가 청각장애인들의 결혼 비율 및 마을 활동 참여 경험도 타 지역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장애인을 어쩔 수 없이 배제한다는 것이 한낱 핑계에 불과하다고 일침을 놓는 기분이다. 이 세상에 '당연한', 혹은 '어쩔 수 없는' 것은 없는 듯하다. 어쨌든 노력하면 길이 보인다. 그 문제가 100퍼센트 해결되지 못하더라도 최소한 방향의 전환은 가능하다. 21세기의 우리조차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일을 해낸 19세기의 마서즈 비니어드 섬 사람들처럼 말이다.

-
* 한길사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도서를 제공받아 자유롭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마서즈 비니어드에서 배울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교훈은 만약 한 지역 사회가 장애인들을 통합시키려고 노력한다면, 장애인들은 그 지역사회에 완전하고 유익한 구성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P2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