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생물을 깨워라! 틈만 나면 보고 싶은 융합 과학 이야기 2
서지원.조선학 지음, 박수영 그림, 구본철 감수 / 동아출판 / 2015년 2월
평점 :
품절


 

동아출판의

 

< 틈만 나면 보고 싶은 융합 과학 이야기 >

시리즈는 그동안의 과학책들과

다른 방식으로 쓰여졌어여. 과학을

설명만으로 풀어 쓴게 아니라 과학을

말 그대로 융합적으로 바라 볼 수 있도록

만들어진 책이라 그런지 이야기에

몰입하다보면 여기저기서 빵 터지곤 하네여

책 제목대로 틈만 나면

보고 싶어지는 책 진짜 맞아여 ㅋㅋ

공룡을 비롯해 지구에 살가 간

수많은 멸종생물들 그 생물들은

언제 사라진건지 그 생물들에 대한

비밀들을 하나씩 밝혀주니 더 흥미 진진해여

1장 과거로 떠나자

2장 화석으로 복원하자

3장 화석의 나이를 밝히자

4장 공룡을 만나자

본문에 이렇게 형용색색의

글자들이 눈에 띄는데

이 글자들이 글 읽는 재미를 더해주네여

화석에 대한 만역한 용어 정리가

아니라 스토리를 통해 배우니

이해가 더 잘 되네여

지층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

치증 모형 만들기 실험까지 나와있어여

어릴 적 문화센터에서 색소금을

가지고 지층을 만들었는데 그때가 생각난다고

하더라궁여

화석의 종류에 대해서도

그림과 사진을 통해

자세하게 배울 수 있어여

아이들이 제일 관심있어 하는

관심사는 바로 공룡은 어떻게 살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들어봤어여

이 책에서는 초식공룡과

육식공룡을 비교해서 잘 설명해주고 있어여

플레시오사우루스의 화석이에여

생생한 사진을 통해 배우니

그림들보다 더 잘 기억이 되는것 같아여

화석 발굴 여행에서 필요한

준비물들을 알아봐여

2003년 5월 전남 대학교

한국 공룡 연구 센터 발굴 팀이

전래남도 보성군 득량면 비봉리 선소 마을

해안가에서 공룡 화석을 발견했대여

화석이 포함된 3개의 암석 덩어리를

발견하여 화석 처리 작업과 연구를

시작한지 7년이 지나 2010년에

드디어 온전한 상태의 공룡

골격 화석을 공개했는데

이 공룡은 코리아노사우루스

보성엔시스로 한반도에 살던

육식공룡으로 알려졌다고 하네여



방사성 원소의 중요한 특징은

일정한 시간이 흐르면

방사성 원소의 양이 절반으로

줄어드는데 이렇게 방사성 원소가

원래 양의 반으로 줄어드는 시간을

반감기라고 한대여

brown_and_cony-3

 

 

 

지층 속 암석에 포함된 방사성 원소의

양을 측정한 다음 방사성 원소의

반감기로 계산하면 그 지층의

쌓인 시기를 알수 있다고 하네여

 

 

 융합 과학 도서를

읽다보면 지식이 쌓으는 건 물론

호기심까지 채워지게 되는것 같아여

과거를 복원할때 때로는 풍부한

상상력이 도움을 준다는걸

입증하기도 하고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는

공룡의 실제 모습에 상상력을 더해

새로운 모습을 만들어 내지여

이처럼 공룡이나 과거 지구 환경에 관한

예술적 상상력은 실제 과학 기술과

함께 새로운 사실들을 발견해 내고 있어여

여자 아이라 그런지

과착 핵심 용어면에서 약한데

이렇게 핵심 용어 정리까지

잘 되어있네여

 

틈만 나면 보고 싶은 융합 과학

이야기에서는 멸종생물에 대해서 재미있는

스토리를 통해 배웠어여. 과학 책 하면

왠지 지루하고 딱딱할것 같은데

이 책은 그림이나 사진을 통해 좀 더 쉽게

과학에 다가갈수 있게 되었어여

지층이나 화석등 여자아이들이

좋아하는 주제는 아니지만

쉽고 재미있게 익힐수 있어 아주 맘에 들어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