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그네 오늘의 일본문학 2
오쿠다 히데오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중그네 전에 읽었던 [남쪽으로 튀어]에 나왔던 아버지가 과격함으로 세상과 맞서 싸웠다면
이 책의 주인공인 이라부는 바보스러움 혹은 무대뽀 정신으로 세상과 맞서 싸우는 듯 하다.

공중그네에는 5명의 제각각의 병명을 가진 사람들이 이라부 신경정신과를 찾아오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첫번째 이야기에선 "어라~ 신선하네..."란 생각을 가졌고, 두번째 이야기를 읽으면서는 "뭐야.. 똑같은 패턴이잖아" 란 생각을 했다. 그럼에도 세번째.. 네번째.. 그리고 마지막 이야기까지 읽은 이유는 아마 이라부의 바보스러움과 현재를 살아가는 나 역시 이들 5명과 크게 차이가 없다는 동질감을 가져서가 아닐까 싶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네들은 현실과 적당히 타협하고 자신들의 이상을 위해 앞만을 바라보고 경주마처럼
뛰어가기만 한다. 주위를 둘러보는 여유라는 것을 모른다면 작은 스트레스에도 무너지게된다.
[공중그네]는 그걸 알려주는 동화가 아닐까 싶다.
분명 서커스에서 공중그네를 보는 관객들은 가슴이 떨리고 하나하나에 열광을 하지만 막상 공중그네를 체험하라고 하면 한걸음도 앞으로 못나가는 사람이 부지기수일꺼다. (나 역시 마찬가지고...)
그럼 공중그네 선수들은 다들 연습만으로 가능한걸까?
아니다...
연습도 중요하지만 단지 성공을 위해 연습만을 했다면 성공하기란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네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받아주는 사람에 대한 믿음이 있어 그런 것이 아닐까?

공중그네에서는 주위를 둘러보고 혼자가 아닌 사람과 부딪치며 살아가라고 말하는 것 같다.
이제부터라도 회사에서 받은 스트레스에 짜증을 내기보단 주위를 둘러보고 친한 친구들과 즐거운 수다를 떨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