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릴적 배웠던 국사책에선 광해군은 조선에서 단 2명만 있는 군으로 불리는 왕이었고 자기 동생을 죽인 왕 정도로 배웠다. 그리고 예전에 읽었던 소설 광해군에서는 그와는 틀리게 명과 청 사이에서 실리를 추구했던 왕이고 명에 예를 갖추지 않는 그에 태도에 불만을 가지고 추대한 왕이 인조이고 인조의 재임기간 동안엔 친명정책을 펼치게 된다.

책을 읽는 내내 인조의 마음때문인지 아니면 그들의 사리분별 못하는 친명정책과 예를 중시하는 그네들의 행동때문인지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입은 것처럼 갑갑하기만했다. 게다가 마지막에 끌려가는 소현세자의 모습엔 (내가 좋아하는 세자이기에...) 멍청한 놈들이라고 욕하고 싶어졌다.

언젠가 읽었던 책에 백성들에게 누가 왕이 되는지는 중요하지도 않고 관심도 없다고 한다. 다만 그저 배불리 먹을 수만 있으면 그 사람이 성군이라 생각하고 좋아한다고 한다. 그런 점에서 비록 추대되었다고 하지만 인조는 그리 좋은 왕은 아니었을 듯 싶다. 싸우기 위해 남한산성에 온 것도 아니고 백성을 지키기 위해 남한산성에 온 것도 아니다. 그저 자신의 목숨을 유지하기 위해 남한산성에 왔고 또 그런 자기의 목숨을 지키기 위해 스스로 문을 열고 나가 칸 앞에서 절을 하여 구차하게 목숨을 연명하게 된다.

남한산성에서는 그런 인조의 마음을 담담하게... 그리고 그의 주위에 있던 최명길과 김상헌의 심정을 안타까운 마음으로 써내려간다. 특히나 김상헌은 대의명분 없이 그저 싸우자고... 계속해서 싸우면 주위 군사들과 백성들의 인조의 은혜로 스스로 일어나 결국 청을 이길 수 있다고 주장할때는 저 사람이 과연 일국의 벼슬아치인가란 생각이 들었다. 어떻게 한 나라의 벼슬아치가 세계정세는 고사하고 자신의 나라의 국력조차 파악을 못하는지... 게다가 인조가 스스로 문을 열때 스스로 목숨을 끊어 인조의 길을 열어주려는 행동은 청에 끌려가기 싫어 그런 것 같아 착찹하면서도 씁슬하였다.

얼마전 뉴스에 미군기지가 철거되면서 많은 환경오염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미국측은 자기네 잘못이 아니라며 나몰라하고 있단 말과 함께 독일에선 자신들이 철저히 조사하여 치유 비용과 미군시설을 유상으로 인수하여 해결하였단 말을 들었다. 그 이야기를 들으며 우리 땅을 우리가 지키지 못해 그네들이 오염시킨 치유비용마저 우리가 해결해야 된다는 사실에 씁쓸하였다.

실천할 수 없는 주전파 김상헌의 말도, 실천할 수 있지만 치욕스러운 주화파 최명길의 말도 모두 옳으면서도 틀린 말이었다. 그저 세계의 흐름을 읽지 못하고 명에게 굽신거리고 말로만 하는 "예"에 더 치중했던 우리 조상들의 잘못이고 그런 조상들의 잘못을 되돌아보지 않고 지금도 여전히 똑같은 실수를 저지르고 있는 현재의 우리들의 잘못이다. 지금이라도 과거의 치욕스러웠던 역사를 돌아보고 앞으로 더디더라도 한걸음씩 나아갔음한다.

[그러나 알 수 없는 것은 조선이었다. 송파강은 날마다 부풀었다. 물비늘 반짝이는 강물을 바라보며 칸은 답답했다. 저처럼 외지고 오목한 나라에 어여쁘고 단정한 삶의 길이 없지 않을 터인데, 기를 쓰고 스스로 강자의 적이 됨으로써 멀리 있는 황제를 기어이 불러들이는 까닭을 칸은 알 수 없었고 물을 수도 없었다. 스스로 강자의 적이 되는 처연하고 강개한 자리에서 돌연 아무런 적대행위도 하지 않는 그 적막을 칸은 이해할 수 없었다. 압록강을 건너서 송파강에 당도하기까지 행군대열 앞에 조선 군대는 단 한 번도 얼씬거리지 않았다. 대처를 지날 때도 관아와 마을에는 인기척이 없었다. 조선의 누런 개들이 낯선 행군대열을 향해 짖어 댈 뿐이었다. 도성과 강토를 다 비워 놓고 군신이 언 강 위로 수레를 밀고 당기며 산성 속으로 들어가 문을 닫아걸고 내다보지 않으니, 맞겠다는 것인지 돌아서겠다는 것인지, 싸우겠다는 것인지 달아나겠다는 것인지, 지키겠다는 것인지 내주겠다는 것인지, 버티겠다는 것인지 주저앉겠다는 것인지, 따르겠다는 것인지 거스르겠다는 것인지 칸은 알 수 없었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김훈이 "남한산성"을 통해 말하고자 했던 것은?
    from 風林火山 : 승부사의 이야기 2007-11-05 02:11 
    남한산성 - 김훈 지음/학고재 2007년 10월 31일 읽은 책이다. 올해 내가 읽을 책목록으로 11월에 읽으려고 했던 책이었다. 재미가 있어서 빨리 읽게 되어 11월이 아닌 10월에 다 보게 되었다. 총평 김훈이라는 작가의 기존 저서에서 흐르는 공통적인 면을 생각한다면 다분히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작가는 매우 냉정한 어조로 상황을 그려나가고 있다. 소설이기에 작가의 상상력이 개입이 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읽었음에도 주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