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게 (반양장) - 기시미 이치로의 다시 살아갈 용기에 대하여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직 40대가 되기엔 많은 해가 남았지만 
나는 이제 더 이상 적은 나이도 그렇다고 많은 나이도 아닌 딱 애매한 30대 초반이다.

어릴 때 내가 생각한 40대는 정말 큰 어른이었다.
어린 날의 기억속에 각인된 부모님의 나이가 딱 40대셨고
그렇게 시간이 흘러서 부모님이 50대가 된다면 노인이되는 줄만 알았던 순수한 생각을(?) 할 때가 있었다.

그런데 내가 막상 30대를 들어서고 나니
40대도 그리고 50대도 나와 관련없지 않겠구나 나도 곧 40-50대가 되는 건 금방이겠구나 싶더라.

이 책을 통해서 미리 겪어보는 마흔도 나쁘지 않겠구나 싶어 책을 읽어보기로했다.




이미 40대를 겪어본 저자가 알려주는 인생길잡이 같은 책이 될수 있을것 같아 선택해보았다.
<미움받을 용기>라는 책으로, 책읽는 사람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는 저자 기시미 이치로의 책 <마흔에게>라는 책이다..

그가 병상에 있으면서 느낀 회고록같은 느낌의 에세이인데
그 전의 베스트셀러 책과는 결이 완전히 다른 느낌일 것 같아 선정해보았다.

뭔가 생사를 판가름하는 병원에서 꽤 많은 환자가 인생을 회고하며 이제껏 하지 못했던 일을 더 깊이 더 뼈저리게 후회한다고 한다. 
그리고 다시 나에게 기회만 허락된다면 더 열심히 살겠다고 결심하는 곳도 병상이라고 한다.

이 책에서는 나이든다는 것을 새로운 시각으로 통찰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흔히 우리는 나이가 든다는 것을 피해야 할 것, 막아야할 것, 부정적인 이미지, 병약한 이미지로만 기억하고 있다.
그래서 나이가 든다는 것은 두려움이기도 하다. 나이듦에 있어 의연한 사람은 찾아보기 드물것이다.

나이가 들면  병에 취약해지고 기억력도 예전만하지 않아서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아 몸을 사리기 쉽다. 
그래서 크게 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발전보다는 퇴보를, 도전보다는 기존의 것을 고수하는 쪽에 더 가까워지기 쉽다.

그렇지만 나이듦이  좋은 점은 실로 많다고 한다.

우선 배우고 싶은 것이 있다면 여유있게 배울 수 있다는 것,
학창시절 성적과 학점을 위해 경쟁하듯 하는 공부와는 달리, 
정말 본인이 하고싶다는 필요를 느끼며, 경쟁보다는  여유를 가지고 할 수 있는 중장년이 하는 공부는 
더 깊이 그리고 넓게 공부할수 있다고 하니 그 것도 정말 그럴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