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홍은주 옮김 / 문학동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라카미 하루키를 읽었다.

무라카미 하루키가 쓴 도시와 불확실 한 벽은 쉬우면서도 난해했으며 몰입도는 높으면서도 재미로는 볼 수 없었다.
소녀와 소년의 사랑으로 시작한 이야기는 중반부로 가고 후반부를 가면서 하루키 장르를 가진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걸까?
끊임없이 순간 순간 당신이라면 어찌할 것인가라고 물어본다.
작가는 자신의 이야기에 독자의 이야기를 더해서 또 다른 이야기를 만들어 가길 바란 건지도 모르겠다.

주인공인 나는 한 순간 나의 전부였던 소녀의 부재로 삶의 색을 잃고 살아가다 소녀가 이야기 해준 벽 안 도시에서 살고 있는 진짜 소녀를 만나기 갈망한다. 나의 갈망이 어찌 길이 되어 도시로 들어가는 문의 문지기를 만나게 된다.

소녀를 잊지 못한 나는 나의 그림자를 떼어놓고 나이가 든 모습으로 벽 안 도시의 소녀를 만나게 되지만 소녀는 나와 마음을 나눈 소녀가 아니었고 그림자를 떼어놓고 들어온 벽 안에서 나는 사라져가는 나의 그림자를 다시 살리고자 그림자만 원래의 세계로 돌려보낸다.

왜? 나는 그럼 둘 아니 하나? 나와 나의 그림자는 누가 진짜일까?
소녀도 소녀의 그림자라고 하지 않았던가... 그럼 내가 사랑한 소녀는 소녀의 그림자인데 도시 안의 소녀와 동일인으로 봐도 되는 건가? 그럼 내가 진짜 사랑한 소녀는 누구여야 하는 걸까. 도시 벽 안의 소녀는 나를 알아 보지도 못하는데 그럼 나는 누굴 사랑한 걸까...

나는 그저 그림자만 돌려보냈는데 내가 원래의 세계로 돌아와 있다.
벽 안 도시로 다시 돌아갈 수 없음을 깨닫게 되고 아무런 생기도 없이 그저 살아가는 중 꿈에 이끌려 시골 도서관 관장으로 오게 된 나는 그 곳에서 아내와 자식을 잃고 불완전한 존재 고야스씨를 알아볼 수 있었고 도서관에 또 한명 그곳에 있지 않는 소년을 만난다

소년는 이 세계에 존재하지만 벽 안의 도시를 갈망하게 되고 자신의 허물을 벗어두고 벽안의 도시로 들어가게 된다. 소년은 이 세계에서 실종으로 남게되고 벽 안의 도시 속의 존재로 살아간다.

삶을 살아가다 보면 이해할 수 없이 겪게되는 상실을 어떻게 헤쳐나가는지 나로 또 고아스씨로 끊임없이 물어본다. 갑작스런 소녀와의 이별, 아내와 자식의 죽음, 온전하지 못한 아들의 수수께끼 같은 실종 그리고 자신의 그림자와의 분리까지도 자기의 존재에 대한 의문을 그림자를 통해 드러내며 분명하고 또렷히 삶의 정답이 있는 거라 이야기 하기 보다는 책을 읽는 동안 질문하고 삶에 대한 고찰을 요구하며 작가는 자신의 이야기를 한정된 지문에 펼쳐 놓아지만 그 속에 보이지 않게 쓰여진 이야기는 지문을 넘어서 독자의 몫으로 남겨져 있다.

자신의 존재 그리고 삶과 그 삶을 대하는 자세에 대한 계속되는 물음과 탐색이 조금이나마 알수없는 삶의 방향에 나침반이 되어주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