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모두 처음엔 시를 몰랐습니다 - 시가 좋아진 당신에게
김연덕.강우근 지음 / 리드앤두(READNDO)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직관적으로 와 닿는 에세이류의 글을 좋아하는 내게 가장 거리가 먼 분야가 바로 시 장르라 할 수 있어. 
김지하의 '오적'이나 김춘수의 '꽃', 로버트 프로스트의 '가지 않은 길' 같은 시들은 좋아하지만 
대부분 현대 미술처럼 난해하거나 폼을 잡는 시들이 많아 정이 가지 않았더랬지. 그런데 읽고 실행하기를 
모토로 삼는 출판사 '리드앤두'에서 어울리지 않게(?) 시에 관한 책을 냈지 뭐야.
다른 출판사에서 나왔다면 거들떠도 보지 않았겠지만 내가 좋아하는 출판사라 
관심 갖지 않을 도리가 없었어. 
'그래, 이 기회에 친하지 않던 시와 한번 친해져 봐?'
하는 생각으로 용감하게 이벤트에 응모했고 당첨돼 책을 받게 되었지. 

책을 받자마자 펼쳐 든 앞날개엔 이런 글이 쓰여 있었어.
'저에게 시란 순간순간 남겨둔 저의 사적인 장면들을 다시금 배치하고,
이상한 시간대로 흩뿌린 뒤 그 안에 다시 들어가보는 일입니다.'

이상한 시간대가 어느 시간대인지는 모르겠지만 왠지 신비스러워 보이지?
그 안에 들어가면 뭐가 나타날지 궁금해지기도 하고. 
시와는 친하지 않지만 시인들이 쓴 에세이는 상당히 매력적이야.
일반 에세이스트들과 다른 결과 분위기, 낭만이 느껴진다고나 할까.
특이하게, 프롤로그 앞 페이지엔 이런 글도 있어.
(보통은 프롤로그가 가장 첫 글인데 말이지)


시는 늘 어려웠습니다.

읽어도 잘 모르겠고
내 감상이 틀릴까 조심스러웠고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아 
슬며시 시집을 덮은 적도 있었죠.

그러다, 문득
시가 말을 걸어왔습니다.

마음 깊숙한 곳
이름 없는 감정들을
알아본다는 듯이.

말로 다 전하지 못했던 감정,
아름답지 않다고 숨기던 모습,
일상에서 발견한 이상한 슬픔이
시 속에서 다정하게 평범해지는 순간.

지금,
시를 조금 더 좋아하고 싶은 
당신에게 두 시인이 
말을 건넵니다.

"너도 그런 마음이지? 
나도 그래."


이상한 슬픔이 시 속에서 다정하게 평범해지는 순간이라니,
무슨 말인지 얼른 파악이 되지 않지만 아마도 이상하고 다정하면서
평범한 것이 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 사실 삶도, 사람도 
그렇지 않을까? 다정하지 않고 슬프고 괴로운 순간들도 많지만
그런저런 모든 것, 말로 하기 어려운 것, 숨기고 싶은 것, 이상한 것,
평범한 것, 결국 삶의 모든 것이 시가 될 수 있는 것이겠지?


강우근 시인은 이렇게 말해.
'어쩌면 바라보는 사람의 마음에 따라서, 우리 옆에 놓인 많은 사물이 다 시가
될 수도 있는 것이겠죠.'


비슷한 말을 김연덕 시인은 이렇게 표현하고 있어. 
'제가 생각하는 시는, 그렇게 한 사람의 내면에 사랑이 남겨둔 기록들을 따라가는 과정입니다. 
흔적이 깊든 얕든, 깔끔하든 지저분하든, 뜨겁든 차갑든, 길든 짧든 흔적의 주인에게 슬프거나 기쁘거나 
낯선 기분을 준다면요. 가렵고 귀찮다면요.'


'숨기고 싶었던, 아름답지 않아 보였던, 사람들과 접속할 수 없을 것 같은, 뒤틀린 채 끓어넘치는 
외톨이 같은 면모들. 제가 그 무렵 접했던 시들은, 아이러니하게도 모두 그곳을 향하고 있었어요. 
시 안에서는 그러한 제 안의 외계성이 오히려 따뜻하게 평범해지는 기분이었죠.
 '너도 이상한 사람이지? 나도 그래.' 시들이 이야기해주는 듯했어요.'


'시가 제게 주는 의미는 정말로 광범위하지만,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불가능한 시간대로 한번 날아가볼 수 있는 자유'입니다.' 


시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말에 강우근 시인은 이렇게 말해.
'우선 시만큼 불성실하게 읽어도 되는 장르가 또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중략) 시의 문장이 정확히 내포한 건 없다는 생각을 가지셔도 되지 않을까요?'


시의 흐름을 따라가기 어렵다는 말에 두 시인은,
'어려운 질문인 것 같은데요, 왜냐하면 딴 곳으로 빠지는 게 시의 묘미이기도 하기 때문이에요.'


'그런데도 따라가지 못하겠으면 그냥 '그런 친구가 있구나' 하면 되는 것 같아요. 
세상에 내가 알지 못하는 비밀이 있다는 것도 소중해요. 그리고 그 시는 휘발되지 않고 그 자리에 
있으니, 시간이 지나고 나서 그 비밀을 새로이 해석할 수도 있겠고요.'


두 시인은 시를 어려워하는 사람들을 위해 시의 매력과 시를 읽는 방법 등을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어. 책을 다 읽고나서 내게 인상적으로 와닿은 몇 가지를 정리하자면,
1. 삶의 모든 것이 시가 될 수 있다.
2. 시 속에서는 익숙한 게 낯설어지고 이상하던 것이 평범해지며 불가능한 세계로
   날아가볼 수 있는 자유가 있다.
3. 불성실하게 읽어도 된다. 딴 곳으로 빠지는 게 시의 묘미이기도 하다.
4, 따라가지 못하면 그냥 '그런 친구가 있구나' 하면 된다.


모든 것이 시가 될 수 있다는 것과 무한한 자유가 있다는 것은 충분히 알겠는데
아직은 시가 내게 말을 걸고 싶어 하지 않는 것 같아. 그래서 내가 알지 못하는
비밀을 소중히 간직하고 그냥 '그런 친구가 있구나' 생각하려고 해. 시간이 지난 후
내게 그 비밀을 해석할 능력이 생길지 모르지만 지금은 딴 곳으로 빠지는 묘미를
즐겨 보려고..^^


분명한 건 두 시인의 글이 비록 에세이이긴 하지만 다분히 시적인 매력과 아름다움과 
신비함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이야. 그래서 에세이가 아니라 시를 읽은 느낌이야. 
가녀리고 투명한 날개를 가진 신비스런 나비가 이리 오라 날갯짓을 하는데 지금은 따라갈 수가 없어. 
왜냐면, 난 지금 'F1: 더 무비'의 폭풍 속에 휘말려 있거든.
시의 바다로 가려면 그 폭풍을 헤치고 삶의 사막을 달려 한참을 더 가야 할 것 같아. 
언제가 될 지 모르지만 휘발되지 않고 그 자리에서 기다려 줄 거지? 
비밀을 간직한 신비한 친구야.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