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위안 - 불안한 존재들을 위하여
알랭 드 보통 지음, 정명진 옮김 / 청미래 / 201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_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것들이라고 해서 다 좋은 것은 아니다.
우리를 아프게 하는 것들이라고 해서 다 나쁜 것은 아니다._

몸이 고장나 아프면 전문가인 의사를 찾듯,
마음이 다치고 아프면
철학자가 필요하다고 말하는 이 책,
「철학의 위안」/알랭드 보통
철학가들이 마음의 전문가라는 생각을
전에는 한번도 못해봤을까..?!

알랭드 보통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진리의 절대성을 추구한 소크라테스부터

자족함을 통한 정신적 쾌락을 말했던 에피쿠로스,

스토아 학파의 대성자로, 자신의 힘으로 변화시킬 수 없는 것은 운명으로 받아들이라했던 순명(順命)의 현자 세네카,

인간성과 인간이 살아가는 방법을 탐구한 에세이스트, 몽테뉴,

끝없는 욕망의 연쇄로서 생(生)은 고통이며, 그 고통으로부터 해방은 죽음이라고 단정한 염세주의 철학자로 알려진 쇼펜하우어,

행복은 고통 없이는 얻을 수 없으며, 삶을 승화시키는 것은 고통을 받아들이는 태도에 있다고 생각한 니체까지 아주 심도있지만 편하게 만나볼 수 있다.

그들의 사상을 통해
행복의 본질을 탐험한 알랭드 보통.
결론은 이렇더라.
행복은 올바른 인식에서 시작해야 하며,
진리와 진실을 추구해야 하고,
삶을 자족하는데서 얻을 수 있다라는 것.

난 이렇게 받아들인다.

올바른 인식이란
인간의 본질,본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자신이 처한 상황 내지 현실에 대한 올바른 인식 곧 이성적 판단이라고.

또 진리와 진실의 추구는
유형의 물건이나 돈같은 눈에 보이는 것보다는
무형의 것 즉 자유,사랑,우정, 배려, 나눔,미학,..눈에 보이진 않지만 훨씬 소중한 이 가치들을 추구하며, 획득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마지막의 삶을 자족한다는 말은
말 그대로 만족하는 삶을 살아야 행복에 이른다는 말이지 싶다.

고딩때나 배웠던 철학자들의 사상을 한자한자 읽으며 따라가는 일 처음엔 쉽지 않았으나 최고의 스승은 ‘필요성‘인지라 내 호기심에 읽어나갈 수 있었다. 행복이 필요하기에_

종일 창밖 하늘을 바라보다 책보다를 반복한
하루가 저물고
멋진 석양사진까지 찍어,
이 소중한 하루를 갈무리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