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1999년 7월
평점 :
절판


모 연예계 게시판에 엉뚱하게도 이책을 강력하게 추천하는 글이 올라와서 속는 셈치고 한번 사서 읽어보았다. 그리고 책을 다 읽고 나서는 게시판에 글올린 사람을 찾아서 밤새도록 채팅으로 독서 토론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그렇게 뭐가 뭔지 도통 이해가 안되지만 누가 주문을 건것처럼 '괜찮은 책'이라는 말이 저절로 흘러나오는 책이었다.

아직 이책을 읽어 보지 못한 사람들은 꿈을 꾸고 난뒤의 기분을 생각해 보면 될것 같다. 분명히 밤새도록 어떤 꿈을 꿨는데 눈을 뜨면 꿈의 여운만 남고 자세한 기억들은 뿌옇게 흐려진 기분말이다. 서너군데의 장소들을 꿈처럼 경계없이 순식간에 넘나들고 언뜻보기에 전혀 관계없는 이야기들이 달빛을 받으며 하나로 잘 섞여든다. 그리고 작가가 들으면 어떨지 모르겠지만 작가가 소설속의 상황을 창조해 낸것이 아니라 소설 스스로가 자신의 스토리를 만들어 간 것 같다는 기묘한 기분이 든다.

고백하자면 앞의 글은 역자 후기를 읽은 후에야 든 기분이다. 역자 후기를 읽지 않고 이 책의 마지막장을 읽고 든 기분은 한마디로 '이게 뭐야'였다. 책을 읽을 때의 긴장감과는 다르게 결말이 내가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모호하고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이라이트 부분에 나오는 신파조의 사랑의 대화가 무엇보다 이해하기 어려웠다. 도대체 무엇이 이토록 서로를 사랑하게 만들었을까..바로 그것이 이해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역자 후기를 읽고 난 후에야 어렴풋이 깨달은게 있다.

이 작품에서는 그러한 논의 자체가 불필요 하다는 것이다. 마치 꿈을 꾸었는데 왜 그런 꿈을 꿨는지 따지는게 무의미 하듯이 말이다. 이책이 다른 소설과 다름 점이 바로 그것이다. 누가 스토리를 얘기 해보라고 한다면 '그게 중요한게 아니고, 서로 다른 장면을 자연스럽게 연결하는 작가의 신기가 놀랍더라'라고 말하고 싶다.

이제 겨우 한번 밖에 안 읽어 봤지만 세번,다섯번을 읽어도 매번다른 기분이 들거라는 확신이 든다. 사족을 하나 달자면 작가가 20대 중반이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만큼 글을 다루는 솜씨가 능숙하여 앞으로 그의 작품이라면 주저없이 읽게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