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비주얼 클래식 Visual Classic
헤르만 헤세 지음, 추혜연 그림, 서유리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디어... 드디어!! 고전에 입문까지는 아니지만 살짝 발을, 손을 담궈보았다. 내가 데미안을 읽고 리뷰를 쓸날이 올줄이야.

이 책을 읽기전까지 나는 주인공이 데미안인줄 알았다...창피하네. 지금도 주인공 이름보다 데미안이 더 기억에 남을 정도..이름이 기억날듯 말듯해서 찾아봄. 그래 맞다 싱클레어!! 이 평범한듯, 아주 복에 겨워서 뭘 모르는, 찌질할듯한 주인공이 성인이 될때 까지의 이야기를 담은 데미안은 어린 소년의 이야기부터 시작한다. 친구들끼리 서로서로의 무용담, 이지만 나쁜짓한거를 이야기하다가 본인이 뒤쳐질까봐 사소하지만 큰 거짓말을 한 것이 소년 싱클레어의 삶을 크게 바꾸기 시작한 첫번째 사건이였다. 그 당시에도 이런 괴롭힘이 있었다니... 지금이나 그때나 동서를 막론하곤 악한 사람은 똑같구나. 그리고 그 거짓말에 덫에 걸린 생각은 드럽게 많은데 입은 뒀다가 뭐하는지 집에 말도 못하고 혼자 끙끙거리는 상클레어에게 데미안이라는 묘한 소년이 나타난다. 그리고 어떤 방법을 쓴것인지 우울한 나날을 보내던 상클레어의 고민을 데미안이 단숨에 해결해준다. 근데 이 상클레어. 주인공 꼬맹이는 친구에게 고맙다는 말도, 그 어떤 언급도 하지않고 그저 벗어났다는것에만 행복해하면서 데미안을 가까이 하지 않는다. 이런 나쁜! 아주 세상 다 산것 처럼 고뇌하더니 그걸 해결해준 사람에게 인사조차 안하다니!! 괘씸한!

이때 부터 나는 이 꼬맹이보다 데미안이 어떤식으로 계속 나오는것인가 더 궁금해졌다. 하지만 주인공은 상클레어이고 전개도 이 꼬맹이의 시선으로 가기에 데미안을 다시 만나기까지 조금 페이지가 필요했다.

어쨋든  조금 자란 상클레어는 정신 차리고 다시 바르고 착한 아이로 성장할거라 생각했던 나의 예상을 깔끔하게 배신하고 아주 방탕에 방탕에 방탕의 끝을 보여주었다. 그리고서 사랑에도 빠지고...뭐지? 누구 말도 안듣다가 사랑에 빠지더니 바른길로 가려고한다. 하고싶지 않은데 주인공 욕을 안할수가 없게하네. 내가 너무 있는 그대로 책을 읽고있는것인가 싶었다.



다 읽은 지금. 어려우면 어떻게 하나 걱정했지만 생각보다 굉장히 술술 읽혔다. 고전을 어렵고 읽기 힘들다는 나의 고정관념이 조금 깨졌다.

아니면 번역을 조금 달리한것일까?


마냥 욕하면서 읽었던 주인공이 어쩌면 보편적인 어디에나 있는 사람의 모습이 아닐까 싶었다. 오히려 너무 그 나이 또래 아이같지 않고 항상 평점심을 유지하 데미안 쪽이 무섭게 느껴졌다. 이랬다 저랬다 변덕이 죽을 끓네. 상클레어는 나름 괜찮은 아이였는데 내가 너무 어른의 잣대로 판단 했던것 같다.

그리고 책이 씌여진 시대가 시대인지라 종교의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왔다. 성장하면서 생각하게되는 큰고민들과 작은 고민들. 지금 생각해보면 별것도 아니였던 고민들. 이런 것들이 다가왔을때 나는 어떻게 했었던가? 무언가 더 많은것을 생각하게 해주고 좋은 기나긴 문장들이 많았지만 그걸 한번에 다 캐치해 내기도, 같이 생각하기에도 나에게는 쉽지않았다. 책을 읽으면서 이건 추천해 주고싶다는 생각은 잘 하지 않는다. 근데 이 책은 추천해주고싶다. 특히 10대 청소년들! 그대들이 특히 읽었으면 좋겠다.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