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한 철학 - 네 마리 고양이와 함께하는 18가지 마음 수업
신승철 지음 / 흐름출판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묘한 철학>의 '묘'는 고양이를 뜻하는 한자어다.

표지 속에 등장하는 네 마리의 반려묘를 통해

인간 세상의 삶과 행복, 미래에 대해 생각해보는 책이다.

 

사실 철학은 난해하고, 오묘해서 이해하기 쉽지 않은 학문이다.

그래서 대중들을 위한 말랑말랑한 철학서를 찾아보곤 하는데

<묘한 철학>은 귀엽고, 깜찍한 고양이의 모습을 통해

어려운 철학을 살펴보는 책이라는 점에서 무척 흥미로웠다.

 

이 책의 저자 신승철 님은 아내와 함께 '철학공방 별난'을 운영하며

공동체운동과 사회적 경제, 생태철학 등을 공부하고 있다고 한다.

대심이, 달공이, 모모, 또봄이라는 네 마리 고양이의 집사 역할을 하며

철학적 사유를 하고 있다.

저자는 개성이 뚜렷한 네 마리 고양이의 모습을 통해

영원, 생명, 함께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고양이의 행동을 관찰하며

미셸 푸코, 대니얼 스턴, 펠릭스 가타리, 에피쿠로스 등

다양한 철학자들의 이론을 끄집어낸다.

 

저자가 키우고 있는 대심이는 이름처럼 마음이 넓은 고양이라고 한다.

대심이는 스스로 세수하고, 온 몸을 정갈하게 정돈한다.

저자는 이를 고양이 수양론이라고 말한다.

대심이의 모습을 보며

나는 나 자신을 얼마나 배려하고, 돌보고 있나, 생각해보았다.

타인과의 관계는 중요시하면서

정작 나 자신과의 관계는 소홀히했던 것은 아닌지.

스피노자는 1인칭의 나와 3인칭의 나가 끊임없이 관계를 맺고,

서로의 위치를 조정하는

삶의 내재성에 대해 이야기했다고 한다.

알쏭달쏭한 철학 개념을 그림으로 그려가며 설명해주니

내용이 마음 속 깊이 들어온다.

 

저자는 성공을 위해 끊임없이 자신을 채찍질하는

'주인공 담론' 혹은 '자기통치법' 대신

고양이처럼 자기 연마를 하기를 바란다.

자기 주변을 단정히 정돈하고, 몸과 마음을 도야하여

다른 사람과의 관계 또한 좋게 만드는 것.

고양이가 인간에게 알려주는 진정한 삶의 태도가 아닐런지.

고양이가 담요를 만지작거리는 것을 꾹꾹이라고 표현하는데

대심이는 꾹꾹이를 통해 '우주되기'를 소망한다고 한다.

우주되기는 타자가 내가 합일된 상태를 의미한다.

 

나의 딸램은 초등 고학년인데 아직도 담요 냄새를 맡는 행동을 하고 있어

'우주되기' 편을 유심히 읽어보았다.

 

대심이의 꾹꾹이를 볼 때면

'자신을 내려놓은 망아의 경지'에 도달한 것처럼 보인다고

저자는 말한다.

철학자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에 의하면

'사랑할수록 달라진다'고 한다.

누군가를 진심으로 사랑하면 합일의 경지에 이르게 되어

상대를 깊이 생각하게 되기 때문이다.

 

나도 그처럼 열정을 가지고 누군가를 진심으로 사랑한 적이 있나.

고양이의 모습을 보며 사랑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다른 사람과 어느 정도 거리에서 관계를 맺으면 좋을지 늘 고민이었는데

대심이를 통해 횡단성의 개념을 배울 수 있었다.

사람에게 스트레스를 받을 때면 혼자이고 싶다가도

막상 혼자가 되면 사람을 그리워한다.

따라서 우리는 섬처럼 고립되어 살아갈 수 없는 사회적 동물이다.

그렇기에 사람들과 잘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는 횡단적 고양이 시점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한다.

'하나에 집중함과 동시에 이미 다른 곳에 관심이 가 있는 고양이의 모습'이라고.

너무 멀지도, 가깝지도 않은 적정거리의 관계를 유지하며 살아가는 방법을

고양이에게서 배워본다.

 

이 책을 읽으며 몇 년 전, 동생이 키우던 반료묘 뗄레가 생각났다.

뗄레는 강아지처럼 꼬리를 흔들며 반가움을 표시하진 않지만,

늘 인간이 무얼 하고 있는지 살피며

자신만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었다.

사람을 귀찮게 하지도 않고, 살랑살랑거리지도 않지만

그 모습 또한 충분히 사랑스러웠었다.^^

혀로 자신의 몸을 닦고,

배변 본 자리를 항상 모래로 덮어놓으며 주변 정리를 하던

고양이를 통해 삶의 태도와 방법을 배운다.

 

고양이에게서 배운 18가지 마음 수업!

<묘한 철학>을 통해 행복한 세상을 꿈꿔본다.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은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