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고 있는 소녀를 보거든
캐서린 라이언 하이드, 김지현 / 레드스톤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학기 초 바쁜 일정 속 힐링을 하겠다면 바쁘게 책을 신청했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또 더디 가게 되었다. 두께감에도 불구하고 편한 문체와 대화체, 빠른 소토리 전개 등으로 쉽게 읽을 수 있는 소설이었다. 제목과 표지에서 알 수 있듯이 상처받고 불안한 한 소녀를 통해 치유되는 주변 사람들과 이웃들의 모습이 담겨있다.

 

소설은 에밀아자르의 '자기앞의 생'을 많이 닮아있는 듯 하다. 모두 상처받고 아픈 아이들과 그들을 보듬고 치유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어른들이 삶이 정돈되고 따뜻해지고 세상의 온기가 더해진다.  

 

이야기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할렘을 연상시키는 동네의 허름한 아파트 현관을 하루종일 지키고 앉아있는 어린 소녀와 그를 지켜보는 공황장애를 가진 한 남자로부터 시작된다. 불안한 동네에 혼자 앉아있는 어린 소녀를 두고 볼 수만은 없었던 공황장애의 빌리는 어린 소녀 그레이스를 향해 용기를 내어 말을 건넨다. 그것이 시작이었을까? 아파트에 살고 있는 낯선 이웃들은 그레이스를 구하기 위해 서로의 상황을 배려하고 이해하며 뭉치기 시작한다.

 

그레이스는 약물중독인 엄마와 헤어지기 않기 위해, 바람 앞에 촛불일지 모를 자신의 인생에 대한 마지막 신호를 보내기위해 그렇게 하염없이 아파트 앞에 앉아있었는지도 모른다. 막무가내의 천방지축 그레이스를 지키기 위한 이웃들의 고군분투는 어느덧 그들 자신의 치유와 힐링이 되고, 서로를 생각하고 배려하는 모습이 싹트게 된다.

 

공황장애를 극복하고 그레이스에게 춤을 가르치는 빌리와 어린시절 트라우마로 극복하는 에일린, 혹독한 인종차별을 이겨내고 그레이스의 스페인어 선생님 된 펠리페까지,,,,, 또 약물중독의 늪에서 딸을 구하겠다는 일념으로 다시 태어난 그레이스의 엄마.... 모두들 그렇게 치유되고 성장하고 배워나간다.

 

우리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아이들을 가르치겠다는 목적으로 일하는 교사들이 어쩌면 천사같은 아이들을 통해 더 많이 배우고 성장하며 치유되고 있는지도....... 읽은 지가 꽤 되는 책을 다시 꺼내들어 등장인물들과 줄거리를 훑어내리는 내 가슴도 따뜻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