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손으로 보는 아이, 카밀 ㅣ 소원어린이책 1
토마시 마우코프스키 지음, 요안나 루시넥 그림, 최성은 옮김 / 소원나무 / 2018년 1월
평점 :

손으로 보는 아이, 카밀
작가 토마시 마우코프스키
출판 소원나무
여기 유쾌하고 기분좋은 아이 카밀이 있어요. 비록 앞을 보지는 못하지만 카밀은 굉장히 기분 좋은 아이예요.
카밀의 부모님도 카밀의 누나도 카밀을 특별하게 여기지 않는답니다. 보통의 아이들과 다른 것은 그저 앞이 안보인다는 것일
뿐인거죠. 하나뿐인 고모는 시각장애인이라며 카밀을 불쌍히 여기지만 그건 카밀을 절대 도와주는 일이 아니예요. 오히려
카밀을 불편하게 만들 뿐이죠.
이 책을 처음 봤을 때, 제목 손으로 보는 아이, 카밀이라 시각장애인에 관한 책일거란 예상은 했는데 카밀이 박물관에 갔을
때의 이야기가 인상적이었어요. 우리가 보통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가면 작품을 눈으로만 감상할 수 있고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는 못하잖아요. 그렇다면 시각장애인들은 어떻게 감상할 수가 있겠어요. 눈은 안보이는 손으로 볼 수밖에 없지 않겠어요.
말로만의 설명으로는 부족하지 직접 만져보고 느끼는게 시각장애인들의 작품 감상법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렇다고 값비싸고
깨지기 쉬운 작품들을 함부로 만질 수는 없으니 방법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앞이 보이지 않는다고해서 할 수 없는게 많은 게 아니라 시도를 하지 않는 것인것 같아요. 이 책의 주인공 카밀은 미끄럼틀도
타고 축구도 하고 거기다 자전거까지 타거든요. 보통의 부모들이 겁내고 걱정해서 시도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카밀은 직접
몸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부모님이 계셔서 좋은 것 같아요.
간혹 앞이 보이지 않는 것 때문에 층수가 헛갈려서 다른 층 다른 집을 카밀의 집으로 착각하고 들어갈 수도 있지만 유쾌한
이웃들은 그런 카밀을 반가워해주고 간식타임에 초대도 해주어요.
장애는 불편한 것일뿐 그 자체가 장애가 될 수는 없는 것 같아요. 우리는 장애인을 동정심으로 대하지 말고 조금 불편한 것을
도와주는 정도의 도움을 주는게 그들을 위한 방법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보았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