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영실의 생각실험실 : 해시계와 물시계 ㅣ 생각실험실 시리즈 2
송은영 지음, 오승만 그림 / 해나무 / 2017년 9월
평점 :

장영실의 생각실험실
작가 송은영
출판 해나무
세종대왕의 명을 받고 장영실이 해시계와 물시계를 만들기 위해 얼마나 많은 생각을 하며 만들게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책이예요.
백성들을 위해 모두가 알기 쉬운 시계를 만들고자했던 세종대왕은 적임자 장영실을 불러 해시계를 만들게 하지요.
기존에 지평이구가 있었지면 이것은 둥그런 돌에 막대기를 꽂아놓은 형태의 시계였지요. 세종대왕은 장여실에게 시계 하나로
절기와 시각이 함께 하는 시계를 만들라고 하였지요.
장영실은 생각하고 또 생각하고 유추하고 궁리했어요. 조선시대에는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 이렇게
십이지로 하루의 시간을 나타내었다고 해요. 각가 2시간의 시간을 뜻하고 있었죠.
장영실은 예측을 통해 실험하고 검증을 거쳤어요. 오늘날과 같이 24시간으로 시간을 구분하기도 하였구요. 12절기를 나타내기도
했죠. 이제 이것을 어떠한 형태로 만들어 내느냐가 마지막 숙제로 남았어요. 해의 길이가 다른 점을 생각해서 가마솥 모양의
해시계를 만들어내게 되었어요. 그러나 이게 끝은 아니었어요. 해가 있을 때는 해시계를 볼 수 있지만 해가 없을 때에도
시간을 알 수 있는 시계가 필요했고 세종대왕은 다시 장영실에게 물시계를 만들라는 명을 내렸죠.
장영실은 해시계를 만들 때처럼 생각의 생각을 거듭해서 큰파수호, 작은파수호, 수수호를 만들고 계속 연속해서 시간을
알 수 있도록 같은 물시계 두개를 설치하고 자동 물시계까지 만들었다고해요.
비록 지금은 그 형태가 남아있는 것은 없지만 남아있는 자료를 통해 우리는 유추해 볼 수 있긴하죠.
너무나 자랑할 만한 유산인데 남아있는 것이 없어 아쉬울 뿐이예요.
이루고자 꿈꾸면 안되는게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어요. 이런 인간의 탐구심과 열정이 오늘날 우리에게 많은 편리함을 주는
것이겠죠. 그리고 앞으로는 또 어떤 발명품들이 나올지 얼마나 더 발전할지도 기대되게끔 하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