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포물선이 다른 포물선에게
박정애 지음 / 사계절 / 2017년 5월
평점 :

한 포물선이 다른 포물선에게
작가 박정애
출판 사계절
정란의 이야기로 시작해 영규, 민수, 춘실 다시 정란, 민수, 영규 또 정란, 민지, 영규 또 다시 정란, 민수 마지막으로 정란의 이야기로
마무리 되는 한 포물선이 다른 포물선에게.
엄마 정란, 아빠 영규, 아들 민수, 딸 민지 그리고 정란의 친구 춘희의 언니 춘실의 이야기까지 소설이지만 현실을 참 많이 반영하고 있는
이야기를 읽었어요.
모두가 삶의 굴레를 짊어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이죠. 이런 유형의 인물들이 지금 시대만 살았던 것은 아니었던 것 같아요. 지금도 그렇고
예전에도 그렇고 앞으로도 있을거예요. 하지만 그 시대가 다를뿐이죠.
일반적이지 않은 평범하지 않는 사람은 도태될 수밖에 없는 것일까요. 정란과 영규는 아주 많이 느린 민수를 너무나 걱정해요.
어떤 부모라도 민수의 평범하지 않은 한없이 여유롭게 느긋한 모습을 걱정할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내가 너무나 싫어하고 절대 닮고 싶지 않는 아버지의 모습을 문득문득 내 모습에서 찾아볼때 느끼는 감정을 영규도 떠올리곤 하죠.
완벽주의자, 천성이 부지런한 아버지를 둔 영규는 그런 아버지로부터 받은 상처가 아버지와 거의 연을 끊고 지낼만큼 컸었어요.
그런데 그런 아버지의 모습을 자신에게 느낄 때 내가 내 아들에게 그토록 싫어하고 미워했던 모습을 보이게 될 까 두려울 것도 같아요.
정란의 학창시절 짝이었던 춘희, 너무 예뻐서 슬펐던 친구, 너무 순진무구해서 아팠을 친구의 이야기도 나의 학창시절에도
있었음직한 이야기기도 하죠.
느린 아이, 자신을 잘 아는 아이 민수가 내 아이라면 나는 그 아이를 버텨낼 인내심이 있을까 생각해보게 되었어요.
누구나 한번쯤 이민을 고민해봤을 것이고, 아이의 학업문제, 진로에 대해 걱정할거예요.
사람의 모습이나 성격이 모두 다르다는 걸 인정하면서도 똑같이 모두 잘하기를 바라는 마음은 비슷한 것 같아요.
마지막 부분을 읽으면서는 결국 인간과 인간의 관계는 뗄레야 뗄 수 없는 보이지 않는 끈으로 연결되어 있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부모와 자식 관계는 끝까지 함께여야겠구나 그 관계 맺음을 어떻게 서로가 아프지 않게 할 수 있는가는 끝없는
숙제인 것 같아요.
한 포물선이 다른 포물선에게. 사람과 사람의 관계, 우리의 삶에 대해 정답은 스스로가 만들어가야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