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수리는 왜 까치에게 쫓겨다닐까? - 우리와 함께 사는 동물들 이야기 자음과모음 청소년인문 1
김기범 지음 / 자음과모음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수리는 왜 까치에게 쫓겨다닐까?

작가 김기범

출판 자음과모음

 

동물들의 고통을 공감하고 그들과 공존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청소년 인문서


독수리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하늘의 무법자예요. 그런데 책 제목은 독수리는 왜 까치에게 쫓겨다닐까? 여서 처음보고는


좀 의아했죠. 어떤 의미가 담겨있는건가 싶어서요.


우리와 함께 사는 동물들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 책을 읽고 나니 그동안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던 부분들이 창피하다는


생각까지 들게 하는 순간이었어요.


이 책에 담긴 모든 동물의 이야기들이 놀랍기도하고 반갑기도하고 신기하기도 했는데 가장 마음이 쓰이고 아픈건


동물원 이야기였어요. 아이가 태어나고 아이에게 동물을 보여주겠다며 종종 동물원에 방문한적이 있고 우리는 철창에 갇혀있는


동물들을 보며 그저 구경했던 거였어요. 그 동물들의 존재를 그저 내가 돈을 내고 즐기는 구경거리라고만 생각했던거죠.


좁은 우리 속에서 고통받는 동물들에게 미안한 마음도 들고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책속에 나온 오랑이는 우리 가족도 두어번 방문해서 본적이 있네요. 떠올려보니 그 곳의 우리가 참 좁았던게 떠올랐어요.


우리는 무슨 자격으로 동물들을 학대하는 것일까요? 그들의 안식처를 빼앗고, 실험도구로 사용하고, 식용을 위해 좁은 곳에


가두어 키우고, 끝까지 책임지지 못하고 버려지는 인간의 무책임함이 얼굴을 화끈거리게 만들더라구요.


비록 내가 동물을 아끼고 사랑하지는 않더라도 학대하고 미워할 수는 없는 일인데 말이죠.


언젠가 아파트 커뮤니티에 단지내에서 너구리가 발견되었다는 글을 본적이 있었어요. 그런데 댓글은 두가지로 분류되더라구요.


우리 아파트가 친환경아파트인가보다와 광견병 매개 동물이라 포획해야 한다는 의견이었죠. 그래도 인간이 먼저 그들의 공간을


침범했으니 함께 생활하는게 맞지 않겠냐는 댓글이 인상적이었던 기억이 나네요.


인간만 이 땅에 살 권리가 있는 것은 아니죠. 누군가 내 것을 빼앗으면 가만있지 않는 것이 인간이예요. 그런데 인간은


동물들에게 참 많은 것을 빼앗고도 당연하다 생각했던 것 같아요.


책에 나온 얘기처럼 인종차별 성차별이 줄고 있듯이 앞으로 인간과 동물간의 차별이 점차 줄어들거라고 기대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