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 구조 일기
최협 글.그림, 김수호.김영준 감수 / 길벗어린이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야생동물 구조 일기

작가 최협

출판 길벗어린이


종종 뉴스로 야생동물이 구조 되었다는 소식을 접할 때가 있어요. 마찬가지로 야생으로 돌려보냈다는 소식을 들을 때도 있구요.


119가 있듯 동물을 위한 도움의 손길도 있구나 라고만 생각했었는데 야생동물 구조 일기 이 책을 보고 나니 정말 많은


동물들이 별의별 이유로 구조의 손길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사람에게 일어나는 사고나 다를 바가 없는 사고들을 당하는 동물들이었지요.


사연많은 동물들이 구조되고 치료받고 다시 야생으로 돌아가기까지의 일년여를 담은 이 책만 보아도 동물들을 위해


해야할 일이 엄청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어요. 안전하게 구조하는게 우선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오히려 구조하지 말아야 할


순간도 있다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모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지요.


새끼들만 있다고 해서 무조건 내맘대로 구조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이번에 확실히 알게되었어요.


어미가 없는 새끼들이 오도가도 못한다고 생각하고 데려오는 사람들이 꽤 많을 것 같은데 앞으로 그런 경우를 발견하면


우선 하루정도는 어미가 찾지 않는지 사람 손을 타지않게하고 지켜봐야한다고 해요.


그리고 더 마음 아픈 점은 사람 손에 의해 구조되었던 야생동물은 다시 야생으로 돌려보냈을 때 적응률이 매우 낮다는 점이었어요.


치료를 잘받고 건강해져서 자유로운 야생으로 돌아가면 마음껏 잘 살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이 들었는데 그게 아닌가봐요.


서포터즈의 날이 있다는 것도 처음 알게되었어요. 서포터즈들이 찾아낸 덫의 양이 상당해서 부끄러워지는 부분이었네요.


구해야할 야생동물은 늘어나는 것 같고 구조할 수 있는 여건이나 인력은 모자라보여 안타까웠어요.


인간이 훼손하지 않으면 지켜질 수 있는 자연과 야생의 동물들을 위해 밀엽꾼들이 사라져야할 것이고


야생동물 구조 일기를 통해 좀더 깊숙히 야생동물의 구조에 대해 알 수 있는 시간이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