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아남은 여름 1854 - 런던을 집어삼킨 죽음의 그림자, 살아남을 시간은 단 나흘 ㅣ 튼튼한 나무 13
데보라 홉킨슨 지음, 길상효 옮김 / 씨드북(주) / 2016년 6월
평점 :

살아남은 여름 1854
작가 데보라 홉킨슨
출판 씨드북
1854년 여름을 겪어낸고 살아남은 실화를 바탕으로 실존인물과 가상인물이 공존하는 살아남은 여름 1854.
의학이나 과학의 발달로 요즘은 신약개발도 예전에 비해서 빨리 되고 문제가 발생했을때 원인도 좀 더 빨리 규명할 수 있죠.
하지만 1854년. 지금부터 160년도 더 이전에는 어려운 일이었겠죠
뱀장어라 불리우는 소년이 이끌어가는 그 해 여름의 이야기속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가진 책이예요
존 스노 박사의 한마디,
' 우리 살아생전에 못 볼 수도 있고 그때쯤엔 제 이름 같은 것도 잊히겠지만, 콜레라라는 무시무시한 전염병이 옛날이야기가 될
날이 꼭 올 겁니다. 전염 경로가 제대로 파악되면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질 날도 올 거고요.'
오늘날도 무시무시한 전염병 때문에 전국, 전세계가 바짝 곤두설때가 있어요. 간염경로를 찾아내고 치료제를 만들고
또다른 전염을 막아내야하는데 이게 쉬운 일은 아니예요.
1854년에 런던을 덮친 죽음의 공포를 막아내려 애쓴 존 스노 박사와 뱀장어의 이야기가 한페이지 한페이지 점점 빠져들게 만들어요
온갖 어려움을 겪으면서 양아버지로부터 동생들을 지키기 위한 뱀장어의 노력은 대단하다 느껴지면서도 어린 소년이
겪기에는 너무 고단한 삶이 아닐까 이야기이지만 안쓰러워요.
뱀장어가 갖는 책임감이라는 막중함이 동생들에게 그치지 않고 콜레라로 죽어가는 많은 사람들을 구하기위해서도 쓰여지죠
나뿐만 아닌 함께 살아남기 위해 무던히 애쓰고 노력하지만 그걸 알아주지 않을 때의 상실감이 클텐데
끝까지 노력해서 콜레라가 공기로부터의 전염이 아닌 오염된 물이라는 사실을 밝혀내는 이야기
실화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야기 속에서 존 스노 박사와 뱀장어의 합이 잘 들어맞아서 이야기가 주는
힘이 더욱 커진 느낌이었어요
살아남은 여름 1854년의 이야기를 현실감있게 느끼게 해주는 책이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