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는 춤추고 싶다 - 좋은 리듬을 만드는 춤의 과학
장동선.줄리아 크리스텐슨 지음, 염정용 옮김 / arte(아르테) / 2018년 11월
평점 :
품절


 

뇌는 춤추고 싶다

작가 장동선. 줄리아F.크리스텐슨

출판 아르테


좋은 리듬을 만드는 춤의 과학 뇌는 춤추고 싶다.


춤 하면 음악이 떠오르구요 음악은 박자로 이루어져 있지요. 저는 요즘 장구를 배우면서 박자를 느끼고 있습니다. 장단을


맞추고 박자를 익히면서 저절로 흥이 나고 몸도 들썩이게 되지요. 그리고 요즘 두번이나 본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를 보면서


음악은 저절로 저의 어깨를 들썩이게 하고 머리를 흔들게하고 따라 부르게 만들었어요.


그러고 보니 또 떠오르는게 자주 찾던 홍대 클럽이 생각나네요. 음악도 즐겼고 그 음악에 맞춰 춤을 추기도 했었어요.


춤을 추기 위해 찾던 곳이었는데 나이들며 어느새 몸 움직이는 법을 잊고 살았던 것 같아요.


저는 이 책을 읽으며 눈이 번쩍 뜨이는 부분이 있었어요. 뒤로 걷기가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 너무


반가웠습니다. 사실 저도 학창시절 그리 집중력이 좋지 못했기 때문에 우리 아이가 집중력이 좋지 못하다는 점이 아쉬웠어요.


앞으로 함께 나가 뒤로 걷기를 아파트 광장 한바퀴씩이라도 매일 매일 꼭 해봐야겠다고 생각했어요. 꼭 집중력이 좋아지길


바라면서 말이죠.


그리고 남편과 함께 스포츠 댄스를 배우고 싶기도 했구요. 지금 당장 어렵다면 조금 더 나이들어 시간의 여유가 생길 때에


함께 하면 더 돈독한 관계 유지에도 도움이 되고 서로를 소중히 여길 수 있는 마음이 커질 것 같아요.


지금 저에게 꼭 필요한것은 힐링을 위한 춤추기 인 것 같아요. 얼마전까지 스트레스가 극에 달하는 일이 있었는데 춤을 통해


그 스트레스도 날려버리고 그러면 우울한 마음도 상쾌함으로 채울 수 있을거란 희망을 보았네요.


전에 에어로빅을 딱 한번 배워본적 있는데 하루만에 포기했었어요. 체계적으로 가르쳐 주지도 않고 무조건 뒤에서서 따라해야


하는 수업이 저에게 너무 일방적이고 초보자를 배려하지 않는 운동이라고 생각했거든요.


나에게 맞지 않는다고 포기 해버렸던 거죠. 수많은 종류의 춤이 있으니 나에게 맞는 춤을 찾아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정 못찾으면 혼자추는 막춤도 우리의 뇌를 즐겁게 해주지 않을까 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