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 인문학 - 그 골목이 품고 있는 삶의 온도
임형남.노은주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골목 인문학

작가 임형남, 노은주

출판 인물과사상사


점점 골목이라고 부를만한 골목이 사라지고 있어요. 골목대장이라는 말도 있었고 골목대장이라는 동요도 있었던 것 같아요.


지금 어머님댁이 주택가였는데 그 주택가가 빌라로 변해가고 있어요. 아직 주택을 고수하고 있는 어머님댁이 이상하게 동떨어져


있는 느낌이 들때도 있어요. 주택일때에는 세대수가 많지는 않았지요. 빌라가 들어서고 빌라에 입주하고 나서 이번 여름에


변압기가 터지는 사고가 있었어요. 주택가일때는 한번도 그런 적이 없었는데 세대수가 많아지고 이번 여름이 어마무시하게


찜통 더위였어서겠지요. 그대로 주택가였다면 변압기가 터졌을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골목 인문학을 읽으며 가장 아쉬운 점은 점점 골목이 사라져 간다는 것이예요. 어린 시절 살았던 곳은 지금 가보면 그곳이


어딘지 전혀 알지를 못해요. 유일하게 남아있는 학교를 기점으로 저쪽이 어디였고 이쪽이 어디였고 추억할 뿐이지요.


그런데 아직 남아있는 많은 골목들이 있다는 사실이 반갑기도 했어요. 그 골목들을 한번 가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고 내가 알고


있는 골목 이야기가 나오면 반갑기도 했어요.


종종 성북동에 가곤 하는데 성북경찰서쪽에서 길상사로 넘어가는 길을 걷곤 하죠. 꽤 가파른 길이지만 처음에는 크고 좋은


집들이 나오다 점점 오르다보면 이런 집들도 있구나 신기하기도 하고 그 좁은 골목에 나도모르게 카메라를 들이대곤 했어요.


그 집들 사이에서도 새로 지어진건지 리모델링을 한건지 살아보고 싶은 집도 있었구요.


골목이라는 단어 자체가 주는 느낌이 참 소박하고 정겨운 느낌을 줘요.


매번 아파트인 내 집만 드나들다 옆동네에 가게 되면 골목골목이 새롭게 느껴지고 이 골목으로 들어갔다 저 골목으로 나왔는데


아까 그 골목이기도 하고 다음번에는 이쪽길로 오면 더 빠르겠다는 생각도 하게 되요.


골목은 개인의 역사이자 도시의 기억이다


작가의 말이 맞는 것 같아요. 그런데 그 기억이 지워지고 역사가 묻혀져가는게 아쉬워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