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클래식 호러 4
메리 셸리 원작, 세이비어 피로타 지음, 프랑코 리볼리 그림, 김선희 옮김 / 조선북스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프랑켄슈타인

작가 메리 셀리 원작, 세이비어 피로타 글

출판 조선북스


고전 문학을 처음 접하는 초등생이 만나기 좋은 책이 조선북스에서 나왔네요. 우선 글밥이 원작이 비해 적고 내용 파악이


쉬우며 삽화가 함께여서 대략적인 줄거리 파악에 좋은 것 같아요. 좀 더 자세하고 디테일한 프랑켄슈타인인을 접하고 싶은


아이들은 자신의 수준에 맞는 책을 찾아 읽으면 좋을 것 같아요.


어떤 사람들은 창조주에 대한 동경심이 있는지 아니면 자신이 조물주가 되고 싶은지 창작에 관한 갈증이 있는 건지 내가


무언가 해냈다는 성취감을 굉장히 느끼고 싶은 것 같아요. 주인공 빅터 프랑켄슈타인은 대담한 실험을 하죠. 몇번의 실패를


겪었지만 드디어 자신의 손으로 만들 창조물이 탄생했어요. 그리고 곧바로 그것에 대한 공포를 느끼고 그것을 거부하고


괴물이라 칭하기까지 하였죠.


그 괴물이 동생을 죽이자 그는 그 괴물을 자신의 손으로 없애야겠다고 생각했죠. 다시 만나게 된 괴물은 자신의 생이 너무나


외롭다고 외모도 자신이 보기에도 흉칙하고 그를 반겨주는 사람은 자신의 외모를 보지 못하는 사람뿐이니 얼마나 괴로웠겠어요.


그는 프랑켄슈타인에게 아내를 만들어 달라고해요. 그러면 조용한 곳에 가서 함께 살겠다고요. 안그러면 프랑켄슈타인에게


복수하겠다고 하죠.


그는 괴물의 요구대로 괴물의 아내를 만들어요. 하지만 자신이 또 다른 흉칙한 괴물을 만든다는데 심한 자책감을 느끼며 그만


두고 말아요. 괴물은 프랑켄슈타인의 결혼식에 복수하겠다고 하죠. 자신을 노리는 줄 알았던 괴물은 프랑켄슈타인의 약혼녀를


결혼식날 죽이고 말았어요. 프랑켄슈타인은 자신의 손으로 직접 괴물을 처리하겠다고 괴물을 뒤쫓고 결국엔 그러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해요. 프랑켄슈타인의 죽음을 느낀 괴물은 프랑켄슈타인과 함께 사라지죠.


괴물은 진정 프랑켄슈타인을 미워했을까요? 프랑켄슈타인이 괴물에게 조금의 애정이라도 느꼈다면 자신의 창조물을 조금만


아꼈더라면 이런 비극적 결말은 없었을거예요. 괴물은 외로웠지만 프랑켄슈타인을 자신을 만들어 준 탄생시켜준 부모 쯤으로


여기고 있었을지도 모르지요.


무엇이 옳은 선택인지는 각자 판단의 몫이지요.


무서운 이야기라 아이가 어떻게 받아들일지 걱정되기도 했지만 공포 문학이 가진 긴장감과 문학적 상상력이 그것을 넘어서


긍정적 호기심을 극대화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는 글귀를 보니 안심이 되기도 하면서 긍정적 호기심의 극대화가 최대한으로


이끌어져 나오길 바라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