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을 훔친 아이 그래요 책이 좋아요 3
알프레드 고메스 세르다 지음, 클로이 그림, 김정하 옮김 / 풀빛미디어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을 훔친 아이

작가 알프레도 고메스 세르다

출판 풀빛미디어


학교도 다니지 못하고 매일 아빠의 술주정에 시달려야 하고 술심부름까지 해야만하는 카밀로예요. 이런 상황이라면 빨리 어른이


되어서 더 넓고 새로운 세상으로 떠나고 싶어할 것 같아요. 그렇지만 카밀로는 아주 먼 곳을 내다보는 것을 좋아하긴 하지만


카밀로가 살고 있는 마을을 떠날 생각은 하지 않아요. 세상 어디도 이보다 더 멋진 곳은 없을 거라고 생각하죠.


카밀로는 단짝 친구인 안드레스와 매일 함께 하죠. 도둑질을 하기도 하구요. 안드레스는 도둑은 되지 않겠다고 우기지만


카밀로의 도둑질을 항상 돕게되요. 나중에 안드레스가 울면서 자신의 할아버지도 도둑이었고 아버지도 도둑이라 감방에 가있는


상황이어서 자신까지 도둑이 되는 걸 너무나 싫어하는 아이였어요. 형편 때문에 학교를 다니지 못하고 매일 거리를 배회해야 하는


아이들의 동네에 어느 날 커다란 도서관이 들어서죠.


도서관을 훔친 아이, 어떤 이유일까 궁금했는데 카밀로는 도서관을 짓기 시작하면서 매일 도서관 벽돌을 훔쳐왔어요. 그걸 보곤


카밀로의 아빠는 더 가져오라고 하죠. 그것이 어디서 생겼는지는 궁금하지도 않았나봐요. 도서관이 다 지어지고 난 후 그 벽돌을


도서관에서 훔쳐온걸 알게 된 카밀로의 아빠는 카밀로에게 폭력을 가하죠. 카밀로는 진흙으로 집을 가려야 했어요. 비만 오면


그 진흙이 씻겨 내려가 다시 집을 진흙으로 가려야하는 작업을 반복 해야했지만 그 작업을 하고 나면 카밀로의 팔은 여자들의


피부보다 더 부들부들 해지곤 했었죠.


어느 날 부터는 아빠가 돈도 주지 않고 술을 가져오지 않으면 집에 들어올 생각도 하지 말라고 해요. 카밀로는 편안한 침대에서

 

자기위해서는 어떻게 해서든 술을 가지고 가야만 했어요. 그래서 도서관을 가게 된 카밀로. 도서관에서 책을 훔쳐 나오고 그 책을


술집에 가져가 술로 바꾸죠. 도서관 마르 선생님은 카밀로와 안드레스가 책을 훔쳐가는 걸 알면서도 눈감아 주었어요.


두번째로 책을 훔쳤을 때 여자아이들은 그 책을 어떻게 갖고 나올 수 있었냐고 놀라죠. 탐지기 때문에 책을 가지고 나올 수


없다는 얘기를 듣게 되었어요. 세번째로 책을 훔쳐 나올 때 미르 선생님은 아이들을 불러 아이들이 가지고 나가는 책 대신


다른 책을 추천해 주며 전해주었어요. 카밀로는 그 책을 술로 바꾸었을까요?


도서관으로 인해 카밀로와 안드레스의 삶이 지금으니 현실을 벗어나 반짝 반짝 빛날 수 있게 되길 바라보아요.


스페인 아동 청소년 문학상, 독일 화이트 레이븐상, 스페인 에델비베스 출판사의 알라델타상을 수상한 작품이예요.


이 책으로 인해 문화재단이 설립되어 활동중이라고 해요. 책의 힘이 이렇게 크다는 것도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