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니 먼로의 죽음
닉 케이브 지음, 임정재 옮김 / 시아출판사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처음 <버니 먼로의 죽음>을 접했을 때, ‘아내의 자살 이후 시작되는 아버지와 아들의 기이한 여행’이란 문구에 호기심을 갖게 되었다. 과연 어떤 새로운 아버지의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을지, 락그룹의 리드싱어로 활동하는 저자의 이력과 함께 신선함을 기대하며 책을 펼쳐보게 되었다.

 

글쎄, 그런데 잘 모르겠다. 무척 외설적이면서 충격적이었다. 무엇을 이야기하고 싶은 것인지 도대체 알 수가 없었다. 성적 방탕이 도를 지나쳤다고 말하기조차 뭔가 부족하다. 머릿속이 온통 음탕한 생각들로만 가득 찬 아버지 버니 먼로, 화장품 방문 판매원인 그가 아내의 자살 후, 도망치듯 길로 내몰린 채, 아홉 살 난 아들과 함께 술과 약에 취해 질주하는 모습은 무척 불안하였다. 온통 외설과 불안, 혼란의 연속이었다.

 

어느 한 순간도 자식에 대한 책임과 의무에 도통 관심조차 없었는 아버지, 버니 먼로, 그리고 엄마의 자살 이후 반미치광이처럼 날뛰는 아버지와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위안을 얻고, 엄마를 그리워하는 아이의 모습이 애처로웠다. 광기어린 어른들의 세계에 면역이 되었다면, 그런 아버지에 대한 맹목적 사랑을 외치는 아들의 모습과 비도덕적인 아버지의 모습이 적잖은 충격으로 다가오는데, 왠지 현대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고스란히 드러내며, 당신은 자신의 삶에 얼마나 성실하냐는 반문에 목줄기가 따끔거려 마음이 편치 못했다.


 

가까스로 마지막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작가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이 책 <버니 먼로의 죽음>은 전형적인 ‘타산지석’의 표본인 듯하다. 결코 바람직한 아버지의 모습은 어디에서도 찾을 수가 없었다. 하지만 이렇게까지 바닥으로 추락하면 안 된다고, 방탕과 방종이 불러온 결과가 어떤 것인지 두 눈으로 똑똑히 보라고 말하는 듯하다. 처절하게 망가짐의 끝을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그리곤 역설적으로 자신의 삶에 대한 존중과 성실의 중요성을 빗대어 말하고 있었다. 또한 그 비극의 끝에서 어느새 ‘버니 먼로’를 용서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그리고 아이에게 소리 높여 ‘파이팅’을 외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