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역사란 무엇인가 청년문고 21
E.H.카아 지음 / 청년사 / 1990년 4월
평점 :
품절


역사공부하는 학생들에게는 필독서 중 하나이다. 책 내용이 상당히 까다롭게 느껴졌었다. 유럽 중심에 내용으로 다루었기 때문에 더욱더 이해하기 어려운 점들이 많았다. 그렇지만 읽고 나면 많은 생각에 변화를 느끼게 해주는 책이다.아무런 의식없이 살아가고 있지만 지금 나는 역사의 큰 흐름속에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된다. 진보적, 상대적인 역사관과 소비에트 혁명등의 많은 관심을 가지고 그런 바탕위에서 이 책을 써 나갔다.

20세기 중반에 쓴 그의 글은 우리들에게 현재 우리의 위치에서 역사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미래를 어떻게 만들어 갈것인가? 많은 질문을 던지고 생각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시 보는 민족과학 이야기
박성래 지음 / 두산동아 / 2002년 6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어며 그 동안 난 너무도 무지했고 우리 역사에 대해, 과학에 대해 잘못 인식하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민족과학이라... 자칫 국수주의에 분위기가 느껴지기도 하지만 이 책을 읽어보면 이 말이 전혀 어색하지 않은 우리가 꼭 알고 있어야 하는 말이란 걸 알 수 있다. 민족과학이라 왜 지금 이런 말이 필요했을까?

세상은 앞으로 과학의 힘에 의해 국가에 운명이 좌우된다. 그속에서 우리는 언제까지 서양의, 서양기준의 과학속에서 머물러만 있을 것인가! 아니 어디까지가 서양과학에 흐름인지 조차 파악하지 못한채, 그저 학교에서 배운 과학 수업이 자연스레 우리에게 남아 있음을 느끼게 된다. 이제는 우리 조상들이 남겨준 수많은 창의적인 과학정신을 본 받아 우리만의 과학을 만들어 가야한다. 과학자에게만 주어진 책임이 아닌 우리모두가 알고 있어야 할 기본 교양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