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7시간 - 전 세계를 감동시킨 아론 랠스톤의 위대한 생존 실화
아론 랠스톤 지음, 이순영 옮김 / 한언출판사 / 201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울면서 태어나서 고통받기만하며 살아간다. 이 말에 나는 굉장한 동조를 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즐거움은 잠깐이며, 고통은 길며 그런 반복된 생활 속에 지쳐있었으므로 아무런 부정적인 말이나 툭툭 내뱉곤 했다.

어차피 소리없는 외침이요, 메아리도 신의 음성따위도 존재하지 않기때문에 태어난다는 것조차 자신 스스로 선택하지 못하는데 내 스스로

얼마나 많은 선택을 하며 살 수 있겠냐는 생각이 온몸에 흠뻑 젖어있었던 것이다.

 

그러던 중 한 케이블 TV를 통해 '죽음에서 살아돌아 온 기적의 사람들'(의역일 수도 있음)이란 프로를 보게되었다.

마침 그 프로에서는 어느 여자 한사람의 인터뷰가 흘러나오고 있었다.

 

"나는 그 순간 정말 막막했어요. 단 몇cm도 내 힘으로 움직일 수 없었죠. 무덥게 내리쬐는 태양조차 그저 온 몸으로 맞고 있을 수 밖에 없었어요."

 

그녀는 자신의 애완견과 함께 하이킹을 하던 도중 절벽아래로 떨어져서 척추를 다치는 바람에 그곳에서 3일간 자신과의 사투를 벌인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었다. 그녀는 물도 한모금 없는 그곳에서 목마름과 새벽의 저체온증을 어렵사리 윗몸일으키기를 하며 잠을 자지않고 이겨내고 결국 애완견이 극적으로 사람들을 데리고와서 구조되는 기적적인 이야기의 주인공이었다. 그녀가 했던 말 중 한마디다.

 

"나는 이제 죽었다 싶었어요. 절망적이었던 그 순간 나는 아론 랠스톤을 떠올렸죠. 그도 이렇게 절망적인 상태에서 끝까지 포기하지않고 이겨내었잖아 하고 스스로 독려해서 포기하지 않을 수 있었어요"

 

그 말을 듣고 나는 아론 랠스톤에게 궁금증을 느껴 그에 대해 찾아보았다. 구글에서 검색하자 수천페이지의 그에 관한 웹페이지들이 검색되었고, 그 중 사진이 있는 몇 페이지를 들어가자 눈에 띄는 점은 바로 그에게는 오른손이 없었다는 점이었다.

 

협곡에서 사고를 당하였고 무려 5일, 그러니까 127시간이 지난뒤에 구조된 그. 그에 대해 점점 궁금해졌고 그러던 중 이책을 접하게 되었다.

 

그저 평범한 스포츠 애호가에게 일어난 일. 협곡에서 혼자 떨어진다는게 그런 것들과 거리가 먼 우리에게는 일어나진 않을 수 있겠지만, 좀더 시각을 바꿔 생각하면 그에게 협곡은 많은 높고 험난한 산들보다 그저 관광용으로 간 쉬운 코스였었지만 그런 크나큰 사고를 당하였단 걸 생각해보면, 우리도 우리 주위에서 간과하고 있던 것들로 인해서 그런 큰 사고를 당할 수 있고 상황이 겹치고 겹쳐 아무도 주위에 도와줄 사람이 없을 수도, 119에게 연락할 수도 , 스스로 움직일 수도 없는 상황에 봉착할지도 모를 상황이 올 수 도 있다는 점에서는 비슷하다.

 

그는 우리보다 좀더 특수한 상황에 놓였고 우리보다 좀더 모험심 있는 스포츠 애호가지만 사고앞에서는 똑같은 사람일 수 밖에 없었다.

 

자신의 작은 선택들로 인해 이런 큰 나쁜 결과를 초래하게 만든 자신을 원망했으며, 감당할 수 없는 고통으로 큰 페닉에 빠졌었고 어떻게든 살아보려 궁리하고 애썼지만 상황은 나아지지않을 뿐이었다.

 

그는 중간중간 자신의 지금의 심정을 솔직하게 비디오카메라에 남기기시작했고 그에 대부분은 자신이 이미 죽은 후에 이 비디오가 발견될 것이라는 전제하에 그저 혼자서 부정적이지만 슬프게 떠들어대는 것을 녹화했다.

그러나 그는 그러한 상황에서도 남들보다 조금더 차분하게 상황을 판단했으며, 물을 나눠마시고 새벽에는 자신의 가방안에 머리를 들이밀어넣고 체온을 유지하며 아침에는 까마귀와 자신을 감싸안는 잠깐의 햇살로 아침의식을 하며 5일간 자신의 삶을 조금씩 더 연장시켰다.

 

그러나 그렇다고해서 나아지는 점은 없었고 상황이 조금 더디게 악화될 뿐이었으며 그도 그것을 알고 있기에 세가지 선택의 기로에 놓여 고뇌하고 있었다.

 

 

오줌을 마시고 온몸에 멍이 들고 더이상 먹을 것이 없을 때 . 그는 더이상 그에게 선택의 기로는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저 어떻게하면 덜 고통받으며 자신의 팔을 자르고 이곳에서 벗어날수 있는가하는 방법의 선택만 놓여져있을 뿐이었다.

 

그는 그의 근육 한줄한줄과 동맥 한가닥 한가닥을 끊어냈으며 스스로 뼈를 부러뜨리고나서야 그곳에서 자유로와질 수 있었다.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었다. 그에겐 아직 절벽과 목마름과 끝없는 사막이 앞에 놓여져있었고, 앞으로 몇번이나 넘어야할 죽을 고비들이 앞에서 미소짓고 있었다.

 

그는 행동했고 그는 구조된것이 아니라 스스로 사람들을 발견하여 구조요청하였다. 물론 그의 부재를 의심한 주변사람들이 실종신고 한 덕분에 타이밍좋게 그가 발견할 수 있는 곳에 사람들이 있었던 것이지만 그는 그저 가만히 구출만을 기다리지않았다. 그랬다면 이미 그는 그 협곡 벽에 남긴 '아론 이곳에서 잠들다'라는 말과 함께 뼈만 남아서 아무도 오지않을 그곳에 또다른 지질층을 형성할 한개의 재료밖에 되지않았을 것이다.

 

그의 이야기는 일파만파 퍼졌고 많은 사람들에게 삶에 대한 희망을 줬으며 8년이 지난 지금 이곳에서도 나라는 한 부정적인 인간에게 희망을 줄 촉매제로써 자리자김해주었다.

 

그의 이야기가 느끼게 해주는 점은 그저 결과만이 아니오 그 결과 속에서 그가 했던 수많은 선택들과 고통의 과정이 존재함으로써 그것이 우리에게 다가오는 점들이 더 많다는 것이다. 그는 능력자나 위대한 사람도 아니었으며 그저 주변에 있는 보통의 사람이었기에 더욱더 그의 이야기는 많은 이들에게 희망을 줬을지도 모른다. 나는 여지껏 내가 무엇인가 스스로 쌓아나아가야하고 더 발전해야하며 그런 스펙들만이 사람들이 나를 봐주는 잣대라고 생각했기에 더 많이 인정받으려고 스스로 옥죄어서 고통받고 있었던 것이다. 그도 그런 사람이었고 그의 실화와 함께 와닿은 점은 그의 친구가 그에게 했던 말이었다.

 
"중요한 것은 네가 무엇을 했느냐가 아니라 네가 어떤 사람인가 하는 거야."
"뭐? 그게 무슨 말이야?"
10여분의 대화로도 난 결국 이해하지 못하고 그의 말을 반박하려고만 했다.
 

그의 친구는 아론이 지금 이자리에 존재하고 자신과 친구로 있어줌 그것만으로도 아무런 물질적 도움이 없다하여도 정신적으로 큰 도움을 받고 있던 것이다.

물론 그때 아론도 그말을 이해하지 못하였지만 혼자 놓여져있고 고립되있을 때 그 주위에 있는 수많은 사람들의 존재의 가치에 대해 느끼며 이말을 책에서 조금은 알것같다고 써놓았던 점이 굉장히 마음에 울려퍼졌다.

 

남에게 인정받든 인정받지 못하던 나는 나이고 남을 욕하던 비평하던 인정하던 나에게 나아지는 점은 없다. 그저 이곳에 존재하고 있을 뿐이다.

 

자신의 존재에 대해 생각해보고 주변사람들과의 형성하고 있는 모든 것들까지 생각하게해주는 인간적인 부분이 그가 그곳에서 느꼇던 많은 것에 자리잡고 있었다.

 

 

비록 8년이나 늦게 나에게 도착하여 지금에서야 나를 깨닫게 해주었지만 훗날 나보다 더 늦게 또 누군가가 그의 이야기를 읽고 고통에서 구제받을 사람이 있겠지. 그의 존재에 감사하며 책을 닫았다. :) 아참 영화로도 만들어져서 개봉되었다고 하니 얼른 놓치기전에 보러가야겠다^^

 

 

 

 

ps. 아참 표지디자인은 좀 아쉬웠다...외국 버젼은 다르던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