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불류 시불류 - 이외수의 비상법
이외수 지음, 정태련 그림 / 해냄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내가 흐르지 않으면 시간도 흐르지 않는다 "

 

 

 

아불류 시불류의 뜻이다.

이 한마디 만으로도 이책의 많은 문장들이 갖고 있는 의미가 설명될수 있을정도로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처음 이외수님의 책을 읽은 것은 청춘불패였다. 청춘불패에서 인생 소생법을 가르쳤다면 이번엔 비상법 편이다.

 

자신이 현재 놓여져있는 이 삭막하고 괴로운 현실이 인생의 끝이 아니며 인생의 희노애락중 잠시 노와 애에 담궈져있을뿐이라고 말하던 '청춘불패'.

 

이번 아불류 시불류에서는 그 현실에서 벗어날수 있는 법이 적혀있다.

솔직히 정말 오리지널 자기개발서들은 한가지 주제를 갖고 그길로 가기위한 여러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있는 책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 아불류 시불류는 자기개발서는 물론 아니고, 그 방법을 제시해주거나 하지않는다.

 

그저 작가가 단풍이 피고 눈밭이 쌓이는 감성마을 한구석 글방에서 자신이 느끼고 우리에게 전해주고 싶은 여러가지 주저리 담긴 이야기들이 묶인 이야기집일 뿐이다.

그러나 읽고 나면, 결국에 우리 자신이 실천하고자 하는 마음과 실천하는 행동이 없다면 훌륭히 적혀있는 자기개발서의 방법들도 그 멋진 위인들이 남기고간 명언들도, 모두 한번 읽고 서재에만 담아둘 해묵은 책속 내용이 되버릴수 있다는 걸 깨닫게 해준다.

 

스토리나 고정된 등장인물들도 없고 비평할 이야기도 없다. 간혹 가슴가득 삼지창으로 찔린듯 쑤시게 만드는 문장도 있고, 잠시 책을 덮고 생각에 빠지게 하는 문장은 있다.

그저 그가 하는 말들을 가슴으로 받아들이냐 마느냐가 이책을 읽고 닫는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미션일 것이다. 가슴가득 한 문장 한문장 한단어 한단어 스며들도록 열어두자.


다시 한번 감성마을에 가서 잔치국수를 먹고 싶다. 시원 따듯한 국물과 국수에 파프리카 나물을 얹어서말이다.

 
 

"도시는 생존의 공동묘지. 가을의 양은색 햇빛 속에, 죽은 문학과 죽은 음악의 시체들이 널부러져 있다. 
젊은이들은 영혼을 저당잡힌채 어깨를 축 늘어뜨린 모습으로 먹이를 찾아 빌딩 사이를 어슬렁거리고 있다.
진정으로 살아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

같이 읽으면 좋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