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라이프 - 카모메 식당, 그들의 따뜻한 식탁 Life 라이프 1
이이지마 나미 지음, 오오에 히로유키 사진 / 시드페이퍼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도착하자마자 술술읽었던 이아이.

 

사실은 약간 작은 사이즈에 놀란감이 없지않았다. 보통 내가 생각하고 가지고 있던 요리책들은 모두 대형사이즈에 그에 어울리는
대형 사진들이 화려하게 장식되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에 반해 보통 소설책정도의 책크기였던 이책은 안을 펼치자 귀엽고 작은 글씨들로 정말 흡사 정감있고 따듯한 일본가정식을 글씨로부터 몸소 표현하려듯 귀엽게 모여있었다.

 

처음 책에 대해 알고 흥미를 느꼈을 때는 전반적으로 각각 요리가 사연이 있는 요리들을 담은 줄 알았었지만, 네가지의 사연있는

요리들을 제외한 아이들은 일본 가정식들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흥미로웠던 것은 저자가 각 요리들에 이야기로 생명을 불어넣어 정말 누군가에겐 있었을 법한 사연을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시간도, 비용도 넉넉히 투자한 아빠표 카레라던가 , 신혼부부의 풋풋한 아침식사라던가. 누군가 이책을 보며 , 어머 나의 이야기잖아 ?라고 할법한 사연들로 구성되어  어지럽지않고 한가지의 코스 요리가 나열되어 나오듯 구성되어있다.

요시모토의 카레와 사람들과의 인연에 대한 이야기도, 오하이 지킴이 이토이씨도 핫케이크의 이상을 꿈꾸는 다니카와씨도 양배추롤로 세월의 흔적을 느껴가는 시게마츠씨도 그들이 중요히 생각하는 이 모든 요리들은 엄청나게 비싸지도, 레스토랑을 가야만 먹는것도, 최고급 재료를 사용해야하는 요리들도 아닌 흔히 접할 수 있는 보통의 요리들이다.

 

오히려 가정식이 주를 이어 반가운 책이 아닐수 없었다.

일본 여행 중  카고시마의 한 이름모를 가정식 식당에서 먹은 이름모를 그 음식.(중화요리풍이 살짝 가미되었던 것같았다)
아직도 그 소스와 어울려 따듯하게 녹아내리던 맛을 기억할 정도다. 그런 것들로 인해 더 가정식에 대한 애착을 가지게 되었다.

 

 흔히들 맛집 맛집하면 고소한 파스타와 담백한 육즙의 스테이크, 아삭아삭한 샐러드등 값비싼 외식을 생각하곘지만, 그런 가끔 맛보는 별미가 아닌 일상적으로 먹는 모든 요리들이 없으면 세상의 모든 이들은 성격파탄자가 될것이다.
백만가지 요리중에 내입맛에 맞고 나에게 그어느때인가를 떠오르게 할수 있는 단 한가지 요리.

그것이 바로 백만가지 요리들이 존재하는 이유 아닐까?

 

나에게 기억에 남는 요리는 무엇일까. 그리고 또 항상 옆에 있어주어 감사한 요리는 무엇일까.

 

나의 경우를 예를 들자면 집에서의 따듯한 밥에 한숟갈 떠먹는 된장찌개에 집착하는 주제에 , 한창 퓨전,웰빙,슈퍼푸드,양식등 현재의 트렌드에 현혹되어 화려하게 치장된 레시피의 요리책들을 사서 익숙하지 않은 재료들과 소스를 사용해 만든 음식들은 이게 제대로 된걸까 만걸까 하는 불안감에 고개숙이고, 그런 불안덩어리로 만들어진 음식을 먹는 이가 아무런 감사인사한마디 없으면 괜히 그런것에 더 과잉반응한 대표적인 실패의 홈파티 경험을 가지고 있다. 이 때가 부끄럽지만 오히려 반성의 경험이 될수 있었고 역시 가정식 최고 ! 를 외칠 수 있게 된 것 같다. 물론 이책이 일본 가정식에 국한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글로만 써있는 다른책들에 비해, 한개 한개의 순서들을 사진으로 작게 담아내었고, 퓨전이자 새로운 방법보다는 레시피 그대로를 따라하여 정석의 요리을 만들어 먹어보길 작가는 권하고 있다. 트렌드가 아닌 작가 자신이 바라는 바를 담은 진정한 그녀의 요리책인 것이다.

 

 책을 덮자마자 나는 부엌에 섰다. 당장 따듯한 밥이 그리웠기 때문이다.
고슬고슬 밥을 짓고, 계란을 섞고 닭다리살을 삶아 오야코동을 만들어 먹었다.

 아 , 이 따듯하고 아삭아삭한 맛. (사진으론 담을 수 없는 이맛)


다시금 이 맛있는 요리를 먹으며 보내고 있는 시간에 감사하게 되어진다.

 마음의 양식도 먹고 실제로 배도 부르고 - 이보다 더 행복한 독서 마무리가 어디있겠는가.

 

 아쉬웠던 점을 얘기하자면, 재료들 중 몇몇은 우리나라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재료이거나 처음 들어보는 재료가 있다는 점이다.
물론 사용하지않는 재료들은 요새들어서는 마트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들이고 처음 들어보는 재료들의 중요성은 아주 미비했기때문에 아쉬웠던 점이지 안타까운 점은 되지 않았다.

 

이 책을 읽어보려는 분들에게 한가지- 먼저 읽어본 사람으로써 팁을 드리자면,

일본식 가정식은 우리와 추구하는 맛이 약간 다르다는 것이다.
구수한맛, 매콤한맛, 여러가지 재료들이 아우러져 한가지의 맛을 내는 경향이 큰 우리나라 한식과 달리,
LIFE에서 소개하는 요리들은 결국에 하나의 요리지만, 안의 재료하나하나들이 살아서 자신의 맛을 낸다는 것이다.
특히나 많은 야채를 넣고, 푹삶아내지않고 아삭함을 살리는 요리법에서부터 알수 있다.

 

 그렇기에 내가 그 풍미를 즐길수 있던 오야코돈은 동생에게는 살짝 이질적인 맛이라고 하였기에, 그 점을 책을 읽고 요리를 시도하기에 앞서 유의하기 바란다.

 

요리책으로써의 소장가치도 있지만 LIFE라는 요리책과는 많이 동떨어진 제목과 같이 한권의 소설책을 읽은 듯한 느낌을 주는 이책.

 

 

따듯한 감성과 따듯한 요리를 만들게 해주는 이책을 앞으로도 자주 펼쳐볼 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