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모자이크 - 뇌는 남녀로 나눌 수 없다
다프나 조엘.루바 비칸스키 지음, 김혜림 옮김 / 한빛비즈 / 2021년 4월
평점 :
절판



읽기에 앞서

보통 책이나 미디어에서는 어떤 소재를 다룰 때마다 남자와 여자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다룬다. 연애심리에서 시작해서 젠더 논쟁에까지 이른다. 그렇게 차이점을 알아감으로써 남녀가 서로를 이해할 수 있다는 뉘앙스를 풍긴다. 그렇기에 남자와 여자 간의 차이에 대해 의문과 반박을 던지는 이 책에 호기심이 생겼다.

내용 및 감상

남자와 여자의 역할분담이라던가 남성다움, 여성스러움의 이미지들은 역사적으로 누적되온 결과다. 그것을 타파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지만, 여전히 뿌리에는 남자와 여자는 완전히 다른 종의 인간이라는 인식에 전제되어 있다. 과거에서부터 여러 위인들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남녀가 역할이 거의 정해졌고, 그것에 대한 연구도 차이점에 집중되었다.

"왜 다를까?"

저자는 바로 이 출발 질문이 잘못되었다고 지적한다. 남녀를 구분 짓는 것은 오직 가지고 태어난 성기뿐이며 다른 요소들은 거듭되온 구분 짓기로 인해 남녀 각각의 특성으로 갈라졌다고 한다. 급기야 어떤 것은 남자가 뛰어나다, 여자가 뛰어나다는 인식으로 인해 서로 그 부분에 있어서 자신의 성별만을 이유로 단념하게 되는데 이러한 통념들이 잘못되었다고 바로잡아준다.

제일 먼저 노력하면 변화하는 가소성을 지닌 뇌에서부터 시작한다. 우리가 살면서 하는 생각과 행동 대부분을 출력하는 뇌는 얼마든지 변화 가능하다. 그렇기에 살면서 노력한다면 남자 여자 각자만이 할 수 있다고 알려진 많은 것에서 성별 격차가 해소될 것이다.

저자는 이어서 호르몬이나 심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우리에게 익숙하게 알려진 남녀의 차이점을 소개하고 그것이 어떻게 비롯되었는지 설명한다. 그리고 관점을 바꿔야 한다는 취지에서 양쪽이 어떤 점에서 비슷한지, 그렇게 보면서 접근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이야기한다.

제목에서 말한 모자이크는 어떤 사람의 특성마다 색깔로 표시했을 때 나타나는 모습이다. 남녀 구분 없이 모자이크를 분석해보면 딱 둘로 나뉘지 않는다고 한다. 사람은 남자와 여자 이분법이 아니라 똑같은 개인으로서 각자만의 다양한 특성을 가질 뿐이라는 것이다.

앞으로

최근 동영상 Reel에서 여자는 되고 남자는 안되는 자세에 대한 영상을 봤다. 이처럼 남녀를 구분짓는 특징은 비단 성기만이 아닌 다른 점들도 많이 있을이 모른다. 그럼에도 남자와 여자 간에 이렇게나 공통점이 많고, 극복 가능한 성별 간의 장벽이 많다는 것이 책의 메시지라 본다. 남녀를 구분 짓는 특징은 비단 성기만이 아닌 다른 점들도 많이 있을 것이다.

가장 핵심은 이제 남자와 여자의 각 성별에 대한 프레임이나 성역은 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남성다움, 여성스러움 이미지를 버리고, 어떤 것을 고민할 때 '남자라서' '여자라서'라는 것은 이유가 될 수 없어야 한다. 지금까지 쌓인 간극이나 편견이 없어지기에 시간이 걸리겠지만, 차이점보다 공통점 중심의 이해가 더 필요하다.

Man and Woman can do everythi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