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인 조르바 열린책들 세계문학 21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인 조르바의 서술자인 '나'는 책과 글에만 파묻혀 살아온 자신에 대한 친구의 비난을 계기로 직접 부딪히는 삶을 경험해보고자 크레타 섬으로 들어가 탄광사업을 영위하게 된다. 크레타 섬으로 들어가는 배를 기다리던 중 누추한 차림새이지만 눈빛이 살아있는 낯선 이와 동행을 하게 되는데 이가 바로 조르바이다. 조르바는 '나'와는 전혀 다른, 본능적이고 직감에 충실한 삶을 살아온 사람이다. '나'가 찾기 위해 떠나온 바로 그런 삶이라 할 수 있다. 조르바에게 세상의 모든 사물, 사람, 일 등은 신비이자 기쁨이며, 그에게 하찮은 것이란 없다. 그는 책에서 뭐라뭐라하는 관념적이고 이성적인 가르침들보다 자신이 직접 부딪혀 체험하고 느낀 경험을 더 소중히 여기고 그것이 그의 가치관이자 판단의 기준이 된다. 반면 주인공 '나'는 먼저 책을 통해 알게 된 점이나 자신의 이성을 중요시하고 그것들을 기준으로 판단을 내리고자 한다. 그래서 조르바의 행동은 언제나 빠르고 '나'는 거의 행동하지 않는다.


나의 삶의 방식은 '나'의 삶의 방식과 유사하다. 주로 책을 통해 간접경험을 많이 얻고, 좋은 말로 하면 신중한 것이지만, 소심하여 쉬 결정하지 못하고 행동으로 옮기지 못한다. 일단 부딪혀보고 겪어보고 느끼는 조르바와는 정 반대이다. 이러한 나의 삶의 방식은 나에게 위험요소나 실패는 적게 가져다주었지만 그에 비례하여 기쁨이나 성공도 적었을 것이다.

조르바는 자신이 하고 싶은 것,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행동하며 살아왔기 때문에 많은 부딪힘이 있었다. 살인도 해보고 많은 다툼과 싸움, 아픔들이 있었다. 그러나 조르바는 후회하지 않는다. 그것이 맞는 삶의 방식이라 생각한다. 그러한 삶의 방식이 조르바에게 꼭 기쁨이나 성공을 가져다주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조르바는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은 거리낌없이 하며 살아왔기 때문에 이러한 만족감이 그에 대한 충분한 보상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그리스인 조르바의 서술자인 '나'는 책과 글에만 파묻혀 살아온 자신에 대한 친구의 비난을 계기로 직접 부딪히는 삶을 경험해보고자 크레타 섬으로 들어가 탄광사업을 영위하게 된다. 크레타 섬으로 들어가는 배를 기다리던 중 누추한 차림새이지만 눈빛이 살아있는 낯선 이와 동행을 하게 되는데 이가 바로 조르바이다. 조르바는 '나'와는 전혀 다른, 본능적이고 직감에 충실한 삶을 살아온 사람이다. '나'가 찾기 위해 떠나온 바로 그런 삶이라 할 수 있다. 조르바에게 세상의 모든 사물, 사람, 일 등은 신비이자 기쁨이며, 그에게 하찮은 것이란 없다. 그는 책에서 뭐라뭐라하는 관념적이고 이성적인 가르침들보다 자신이 직접 부딪혀 체험하고 느낀 경험을 더 소중히 여기고 그것이 그의 가치관이자 판단의 기준이 된다. 반면 주인공 '나'는 먼저 책을 통해 알게 된 점이나 자신의 이성을 중요시하고 그것들을 기준으로 판단을 내리고자 한다. 그래서 조르바의 행동은 언제나 빠르고 '나'는 거의 행동하지 않는다.


나의 삶의 방식은 '나'의 삶의 방식과 유사하다. 주로 책을 통해 간접경험을 많이 얻고, 좋은 말로 하면 신중한 것이지만, 소심하여 쉬 결정하지 못하고 행동으로 옮기지 못한다. 일단 부딪혀보고 겪어보고 느끼는 조르바와는 정 반대이다. 이러한 나의 삶의 방식은 나에게 위험요소나 실패는 적게 가져다주었지만 그에 비례하여 기쁨이나 성공도 적었을 것이다.

조르바는 자신이 하고 싶은 것,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행동하며 살아왔기 때문에 많은 부딪힘이 있었다. 살인도 해보고 많은 다툼과 싸움, 아픔들이 있었다. 그러나 조르바는 후회하지 않는다. 그것이 맞는 삶의 방식이라 생각한다. 그러한 삶의 방식이 조르바에게 꼭 기쁨이나 성공을 가져다주었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조르바는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은 거리낌없이 하며 살아왔기 때문에 이러한 만족감이 그에 대한 충분한 보상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이렇듯 감정에 충실한 삶의 태도는 '나'에게도 심경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나는 인간의 고통에 따뜻하게, 그리고 가까이 밀착해 있는 이들을 존경했다. 오르탕스 부인이 그랬고, 과부가 그랬고, 슬픔을 씻으려고 바다에 용감하게 몸을 던진 창백한 파블리가 그랬고, 양의 목을 따듯이 과부의 생멱을 따라고 고함을 지르던 델리가 그랬고, 남들 앞에서는 울지도 말도 하지 않던 마브란도니가 그랬다. 나 혼자만 발기 불능의 이성을 갖춘 인간이었다. 내 피는 끓어오르지도, 정열적으로 사랑하지도, 미워하지도 못했다. 나는 모든 것은 팔자소관이라고 주장하면서 겁쟁이로 사태를 바로잡아 보려고 했던 터였다."


그렇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나'의 삶의 태도는 '겁쟁이'로 보일 수도 있는 거였다. 그러나 어느 한쪽이 절대적으로 옳은 삶의 방식이라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 두 가지 삶의 방식을 적절하게 조화시킬 수 있는 지혜와 용기, 그것이야말로 인간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아닐까 한다.


이 둘의 삶의 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공통적인 것은 두 사람 모두 '행복을 느끼기에 많은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이고, '모든 사람에겐 그 키에 알맞은 행복이 있음'을 깨닫고 나에게 주어진 것에 충실하며 '현재'만을 위해 살아간다는 것이다. 어찌보면 니코스 카잔차키스가 그리스인 조르바를 통해 말하고 싶었던 것은 이것이 아닐까 싶다. 조르바던, '나'던, 오르탕스 부인을 비롯한 크레타섬 사람들이던 각자 처한 상황과 생김새는 다르지만, 자기가 가진 것에 감사하고 현재에 충실하며 살 수 있는 삶, 그것이 인간의 최고의 미덕이라는 것 말이다.


내 인생에 조르바를 통해 떠올려지는 사람은 없다. 다만, 얼마전 나는 일간지에서 윤광준이라는 사진작가에 대한 인터뷰 기사를 읽었고, 이 분의 행동과 생각이 조르바와 유사한 점이 있다고 생각했다. 일부를 옮겨보면,

"전 관념으로 세상을 조립하기 전에 행동이 먼저 앞섰고, 체험한 후에야 그게 도대체 뭐였는지 나중에 정리하는 삶을 살았어요. 즉각적 감각이 주는 명확함이 더 쉽게 와 닿아요. 먹어보고 짜면 안 먹을거고, 아프면 손을 놓을거란 거죠. 책을 몇권 쓰긴 했지만, 남들이 말하는 독서가도 아니에요. 사람이 모두 고전을 읽어야 한다는 말에도 절대 동의할 수가 없어요. 고전은 이데올로기를 공감시키려는 편한 방법이라고 생각하니까요. 인간의 경험과 지혜가 꼭 책을 통해서만 얻어지는 것도 아니고 말이죠. 인간의 기본이나 관계를 얘기하는 또 다른 가능성이 있을텐데, 하는 기대가 아직 제게 있어요."


어찌보면 조르바가 '나'에게 비난하는 목소리처럼 들리기도 한다. 위 인터뷰 내용 중에 와닿는 것은 '즉각적 감각이 주는 명확함'이다. 사소한 일부터 해서 본능에 따라 즉각적으로 행동했을때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온 경험을 나도 몇번 한적이 있다. 더 잘하려고 괜히 한번 더 돌려서 생각해보고 몸을 사리다가 좋은 기회를 놓친 적이 있다. 그동안의 살아온 경험과 노하우가 내가 느끼는 것보다 훨씬 더 내 무의식 속에 저장이 되어 있어서 본능적이고 즉각적으로 내가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게끔 해주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IFEZ 독서행정시스템을 통해 작성한 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