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수 한 사리 소금 두 자밤, 추가요! - 세는 물건에 따라 다르게 쓰는 우리말 우리말 시리즈
이경순 지음, 강은경 그림 / 그린북 / 2017년 4월
평점 :
품절


 저희 아이들은 지금 초1, 초2입니다. 아직 물건 세는 단위를 잘 모르는 것 같아요. 제일 자주 쓰는 단위는 "개"예요. 사과 한 개, 집 한 개, 두부 한 개...... 둘째는 동물을 셀 때와 사람을 셀 때는 구별없이 항상 한 명, 두 명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아이들한테 물건을 세는 단위를 제대로 가르쳐주고 싶어요. 근데 세는 단위가 많아도 정말 많네요. 그냥 하나하나 가르쳐주면 잘 못 외울 것 같아요.

 

다행히 이번에 물건을 세는 단위에 관련된 정말 좋은 책 한권을 만나게 되었답니다. 바로 그린북 출판사에서 나온

<국수 한 사리

소금 두 자밤

추가요!>

입니다.

 



 


책을 펼치기 전에 먼저 책 표지를 같이 한번 봤어요.

 

"엄마~ '약 한첩'은 무슨 뜻이야? 약 한 개 아니야?"

"생선은 한 마리 아니야? 왜 '고등어 한 손'이에요?"

"다 실인데 왜 '실 한 꾸리'와 '실 한 토리' 두가지 세는 단위가 있어요? 무슨 차이에요?"

 

표지만 봤는데 아이들이 벌써 질문투성이네요.

그럼 같이 책을 한번 읽어 볼까요?

 

세상에 있는 수많은 물건들을 셀 때는 서로 어울리는 '단위'의 짝이 있답니다. 지역마다 나는 생산물이 다르니까 사는 지역에 따라 어떤 단위가 많이 쓰이는지 쉽게 알 수 있도록 이 책의 내용은 4장으로 나뉘어져있어요.  

* 농촌의 봄

* 어촌의 여름

*산촌의 가을

* 도시의 겨울

 

이 책에서는 이야기를 통해서 농촌, 어촌, 산촌, 도시 등 각 지역의 자연환경에 따른 생활모습과 특징도 알 수 있고 그 생활환경에서 쓰는 물건을 세는 단위들도 배울 수 있답니다. 이야기 형식이라서 아이들이 쉽고 자연스럽게 세는 단위를 배울 수 있을 것 같네요. 이렇게 배우면 머릿속에 잘 외울 수도 있네요.

 

이야기마다 그 단위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주었답니다. 그리고 그 단위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도 알려주고 그림으로 재미있게 표현해주니까 정말 책을 읽으면서 벌써 머릿속에 쑥쑥 들어갔네요. 

 

아이들과 책을 읽어보니 저도 잘 모르는 세는 단위도 좀 있네요. 저도 아이들과 함께 많이 배웠답니다.

 

이 책의 내용이 정말 마음에 들어요. 읽고나서 아이들의 책상에 있는 책꽃이에 두고 공부할때 사전처럼 써도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이 책의 내용은 초등학교 3,4학년 교과서와 연계되니까 나중에 학교공부에도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이 책을 정말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이 글은 출판사에서 제공된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서평입니다.>








 국수한사리소금두자밤추가요,그린북,우리아이책카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