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하 여행자 도쿄 김영하 여행자 2
김영하 지음 / 아트북스 / 2008년 7월
평점 :
절판


김영하의 <여행자 도쿄>에 보면 여행책자에 관한 글이 나온다. 서양에 소개되는 일본책자의 표지는 주로 하얗게 분칠한 게이샤의 얼굴이나 기모노에 게다를 신고 있는 여성들의 뒷모습 등 일본의 전통적인 모습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런 여행책자에서 소개하는 루트를 따라가다 보면 서양인들이 바글바글 하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Lonely Planet'을 들 수 있겠다. 궁금해서 찾아보니 정말 그렇다. 왜곡된 오리엔탈리즘일 수도 있지만 서양의 관점에서 바라 본 일본은 동양의 옛 정취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는 고색창연한 분위기의 나라인 것 같다. 

처음에는 여행자가 여행안내서를 선택한다. 그러나 한번 선택하면 그 한 권의 여행안내서가 여행자의 운명을 결정한다. 짧은 여행기간 동안 여행자는 여행안내서 한 권의 체제에 익숙해지기에도 힘이 든다. 어떤 여행안내서는 서울로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비로소 그 체제를 이해할 수 있다. 게다가 여행안내서들은 방대한 정보를 담고 있어 여행자들을 그 안의 일부만을 몸소 경험할 수 있을 뿐이다. 즉, 여행자는 여간해서는 자신이 선택한 책 밖으로 나갈 수가 없다. 여기서 우리는 '텍스트의 바깥은 없다'는 롤랑 바르트의 말을 다시 한 번, 이런 방식으로 떠올리게 된다.


한동안 여행을 할 때면 나 역시 두툼한 가이드 북에 절대적으로 의지 하곤 했었다.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도시에 대한 친절한 안내서로 선택하여 추천명소와 맛집을 따라다니다가 결국은 실패와 후회를 반복하게 하는 이상한 책인데도 말이다. 오랫동안 준비했던 여행이 한 권의 책 안에 갇히고 마는 것은 참 안타까운 일이다. 그래서 과감하게 이렇게 생각하기로 했다. 세상에는 읽지 않아도 되는 책들이 훨씬 더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