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덤 스미스 국부론 - 번영과 상생의 경제학 리더스 클래식
이근식 지음 / 쌤앤파커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번쯤은 어디선가 들어봄직한 익숙한 이름과 제목이다.

대충은 안다고 생각했지만 이렇게 직접 국부론이라는 이름으로 읽어본 것은 아마도 처음인 것 같다.

고등학교때 혹은 학부로 그래도 공부했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국부론에 대해 심층적으로 들어가보니 현재의 경제 상황과도 여전이 접목시켜볼 수 있는

매력적인 부분이 많았다.

스미스로 돌아가자는 신자유주의 구호가 여전히 휩쓸고 있지만,

국부론은 자본주의의 어두운면,

빈부격차나 주기적 불황, 독과점 등장 등의 조건은 미처 보지 못했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배제한다면 그 나머지 그의 지혜는 충분히 아직까지도 받아들일 만 하다고 여겨진다.


아담 스미스는 대체로 부유하게 삶을 살았고, 그의 첫 저서인 도덕감정론은 국부론과 더불어

널리 주목받고 있는 명저이다.

이 책은 자본주의의 기원과 더불어 그 흐름을 통해 어떻게 애덤스미스가 국부론을 쓰게 되었는지를

시대에 따라 설명해주고 있다.

시장경제, 자본주의, 산업혁명, 대공황, 정부실패 등등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을 보여줌과 동시에

성공과 실패도 설명해준다.

국부론은 다양한 철학적 기초를 통하여 단순히 경제에만 한정되어 있지 않고 종합적으로 세계관을 갖춤으로써

경제규제 철폐와 경제 자유화를 주장하였다.

앞서 말한 도덕감정론 안에 그 철학이 담겨 있다고 나와 있는데

나중에 이 책도 읽어보면 다양한 지식습득과 더불어 애덤스미스만의 생각을

더 깊이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노동가치설이나 가격, 소득, 자유경쟁시장등 용어 설명과 더불어 그 시대적 배경도

자세히 나와 있어 경제를 전공하는 신입생들에게도 좋은 입문서가 될 것 같다.

더불어 오래전에 쓰여진 책이지만 여전히 현재의 경제 상황에도

접목시켜 경제를 분석해 볼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하였다.

특히나 맨 마지막 장인 5장, 무엇을 배울 것인가 를 통해 더더욱 과거의 경제와 정치를

실제 역사 사실과 더불어 나타나 이해가 더 빨랐던 것 같다.


이 책 시리즈의 문구처럼 위대한 고전을 통해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눈과 지혜를

더 많이 얻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